한국어 미등록어 인식을 위한 단계별 접근방법

Step-by-step Approach for Effective Korean Unknown Word Recognition

  • 발행 : 2009.05.29

초록

최근 웹 문서 뿐만 아니라 신문기사에서도 미드(미국드라마)나 안습(안구에 습기차다)와 같은 신조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이러한 단어는 한국어 분석기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 된다. 이러한 미등록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전문분석 기반 미등록 명사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 용언 인식 단계, 웹 출현빈도 기반 미등록 명사 인식단계로 구성된 단계별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문서에서 여러 번 나타난 미등록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전문분석 기반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문서에 한번 나타난 미등록어도 광범위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웹 출현 빈도 기반 단계도 포함한다. 그리고, 다양한 한국어 미등록어를 인식하기 위해서 미등록 명사 인식 단계와 미등록 용언 인식 단계를 구분한다. 실험결과 기존 접근방법에 비해 제안하는 접근방법은 정확률 1.01%와 재현율 8.50%를 개선하였다.

Recently, newspapers as well as web documents include many newly coined words such as "mid"(meaning "American drama" since "mi" means "America" in Korean and "d" refers to the "d" of drama) and "anseup"(meaning "pathetic" since "an" and "seup" literally mean eyeballs and moist respectively). However, these words cause a Korean analyzing system's performance to decrease. In order to recognize these unknown word automatically, this paper propose a step-by-step approach consisting of an unknown noun recognition phase based on full text analysis, an unknown verb recognition phase based on web document frequency, and an unknown noun recognition phase based on web document frequency. The proposed approach includes the phase based on full text analysis to recognize accurately the unknown words occurred once and again in a document. Also, the proposed approach includes two phases based on web document frequency to recognize broadly the unknown words occurred once in the document. Besides, the proposed model divides between an unknown noun recognition phase and an unknown verb recognition phase to recognize various unknown words.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improves precision 1.01% and recall 8.50% as compared with a previous approac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