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단계 각성 모드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eaction by three arousal modes

  • 김치중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황민철 (상명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김종화 (뇌정보통신연구소) ;
  • 우진철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김용우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김지혜 (상명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발행 : 2009.05.22

초록

본 연구는 3 단계 각성 모드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모델 구현에 대한 연구이다. 정신생리학(Psycho-Physiology)에서의 각성 시스템 모델은 Boucein(1992, 2006)에 의해 제안되었다. 각성 시스템 1 은 편도체(amygdala)활동과 관계한, 무의식수준에서 주의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성 시스템 2 는 해마(hippocampus)활동과 관계한, 인지적 각성 단계로서 상황-반응(situation-reaction) 대한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각성 시스템 3 은 기저핵(basal ganglia)활동과 관계한, 몸운동(somatomotor)활동과 관계된 뇌 영역의 준비를 활성화시킨다. 각성 시스템은 상황의 변화나 특정 자극이 일어나면, 그에 해당하는 각성 모드에 의해 자율신경계(automatic nervous system)반응이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신경계반응의 분석을 통하여 각성 시스템의 단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율신경계반응 중 GSR(galvanic skin Response)과 SKT(skin temperature)분석을 통하여 3단계 각성 모드인 직관적, 인지적, 행동적 모드를 평가하는 연구이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