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상황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의 대화 흐름도 도출 연구

Study of deduction flow map on conversation toward the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s in the Mobile Environment

  • 최유정 (서울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 조윤주 (서울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 박수이 (서울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발행 : 2008.02.13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대회를 분석하여 대화의 흐름도를 도출해 내는 것에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화에 대한 전반적인 요소 추출과 더불어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대화 유형까지 도출해 내어 대화형 에이전트의 대화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1대 1 개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제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대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대화 분석론과 대화유형학을 참고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층 6개의 대화 흐름도를 도출하였다. 특히 원활하지 않은 대화는 기존의 사람과 사람과의 대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대화이며 그 개수도 52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대화 방해 요소가 나타났을 경우 상대에 대한 적대감을 보이거나 대화를 교정하는 행위로 대화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대화형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의 대회를 분석하여 그 유형을 알아냈다는 점에서 대화형 에이전트 개발자와 사용자,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finding flow-map in conversation what is going on user and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by analysing that convers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not only find elements of conversation, but also draw out patterns of conversation can be exist for dialogue ability between user and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To do this, we collect data through in-depth one to one interview, and then we analysis collected data to try to find out element of user-agent conversation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refer to the theory of conversation analytics and type of conversation. As a result, six flow map is deducted Especially, the irregular conversation is hard to find in human-human conversation, and the frequency is the most in data. In addition, when elements of interruption came out, be hostile to partner or correct the press conversation. This study can have positive effect to embodied conversation agent developer, user and service offerer because this study find the type of conversation through analysis that between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and us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