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공간에서의 순간적 거짓행동 유발연구

A Study of Inducing spontaneous deceptive behavior in virtual environment

  • 정규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임상심리학) ;
  • 이장한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발행 : 2008.02.13

초록

`거짓말' 은 인간사회에서 옳지 못한 행동으로 비난을 받아왔으나 동시에 일상생활에서는 대인관계를 지속하고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거짓말에 대한 이런 이중적인 모습이 '외형적 태도' 와 '암묵적 태도' 라는 두 가지 다른 근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순간적인 거짓말은 외형적 태도보다는 암묵적 태도와 더 큰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거짓말에 대한 외형적, 암묵적 태도와 실제 거짓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외형적 태도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암묵적 태도는 암묵연합검사(IAT)로 측정하였다. 또 실제 거짓행동은 거짓말을 하면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상황을 조성, 실험참가자들이 이를 얻기 위해 순간적으로 거짓말을 하는지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제 거짓말을 한 사람들은 외형적 태도상에서는 거짓말을 하지 않은 사람들과 차이가 없었으나 암묵적으로는 거짓말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가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ying has been such a wrong act in huma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we are perpetrating lying surprisingly often in the interpersonal situation. Like this, between what we think and what we do about telling lie is pretty different, and these differences are came from ambivalent attitudes stemmed from different sources which is divided into the implicit and the explicit attitude. We find manipulative liars by simulated racing task by using virtual environment. Implicit Association Test was applied to them to see implicit beliefs, and us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o identify explicit attitude about lying. As a result they could manipulate the explicit measures but could not maneuver their own implicit attraction to lie Liars' deceptive behaviors usually occur in subtle and covert way so that it has been hard to notice and to know what lead them to lie. However, as we know those spontaneous process is linked with deception, triggering them lie, it became no more veiled, unpredictable ac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