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Experiment of Chloride Penetration in Concrete through Cracks

콘크리트의 균열부를 통한 염소이온 침투의 장기 실험연구

  • Published : 2008.11.07

Abstract

Over the past few decades, considerable numbers of studies on the durability of concrete have been carried out extensively. The majority of these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on sound uncracked concrete, although most of in-situ concrete structures have more or less micro-cracks. It is only recent approach that the attention has shifted towards the influence of cracks and crack width on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nto concrete. The penetration of chlorides into concrete through the cracks can make a significant harmful effect on reinforcement corrosion. Author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racks on chloride penetration by short tem experiment. However,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effect by long term experiment to get reliable goal. In this study, the long term experiment was carried out and the experimental result was compared with short term experiment. Crack tends to decrease with elapsed time because of self-healing. Especially this trend was obvious in concrete sample with wide crack with.

지난 수년간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와 유관되어 실험방법론 및 해석적 모델 기법의 개발에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그러나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다소의 균열이 존재하며 이는 장기 내구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비균열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연구되어 온 문제점이 있었으며 균열이 존재하는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의 저자는 단기 촉진실험에 의하여 균열이 염소이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신뢰성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 실험을 통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 및 단기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자기치료 효과에 의하여 균열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경향은 균열 폭이 클수록 자기치료에 의한 균열감소 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