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Environmental Sensor Data System based on Flex

Flex기반 웹 환경 센서 데이터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an, JaeJeong (Dept. of Comput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Ryu, NamHoon (Dept. of Comput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Oh, KyeongSug (Dept. of Comput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gKon (Dept. of Comput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MoonSuk (Dept. of Computer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한재정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류남훈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오경숙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김응곤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장문석 (순천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Published : 2008.05.01

Abstract

The early web technology was 2D type and exchange of information was passive generally. AS the time had passed, users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3D environment which is similar to real world actively. However VRML which is expected to bring big changes of the web environment has not been expanded owing to various circumstances. At a recent Web 2.0 is the most popular topic in the Internet business. Basic concept of Web 2.0 is implementation of comfortable UI(User Interface) and implementation of more active web than previous web. Concept of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is one of the Web 2.0 important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Web Environmental Sensor Data System which has fantastic UI and various functions by using Flex.

초기의 웹 기술은 2차원적이며 수동적인 정보교환이 주류를 이루었다. 사용자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보다 좀 더 실제의 세계와 유사한 3차원의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웹 환경의 큰 변화를 몰고 올것으로 예측되었던 VRML이 여러 가지 여건으로 인해 확대되지 못하였다. 최근 인터넷 업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 Web 2.0이다. Web 2.0의 기본 방향은 편리한 UI(User Interface)의 구현과 기존의 웹보다 동적인 웹의 구현이다. 그 중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라는 개념은 Web 2.0의 중요한 기술적 이슈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Flex기술을 이용하여 화려한 UI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웹 환경 센서 데이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