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시안 페이딩과 임펄스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기법과 길쌈 부호화 기법을 채용한 16 QAM 신호의 성능해석

Performance Analysis of Convolution coded 16 QAM Signal with Maximum Ratio Combining Diversity in Rician Fading and Impulsive Noise Environments

  • 발행 : 2008.10.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임펄스 잡음 환경에서 길쌈 부호화 기법을 채용한 16 QAM 신호의 오율 성능을 분석하였다.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길쌈 부호화 기법과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였다.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의 환경에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임펄스 잡음과 가우시안 잡음의 특성에 따른 신호의 성능을 해석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로서 임펄스 잡음 환경에서는 신호 전력을 높여주어도 오율 성능이 향상되지 않는 Error floor 구간이 있으며, 이 한계를 넘는 신호 전력이 제공되어야지만 오율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rror rate Performance of convolution coded 16 QAM signal in impulsive noise Environments. We used convolution rode and maximum ratio combining diversi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e analyzed the error rate performance of 16 QAM signal in implusive noise environments compared with gaussian noise environments.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is a BER segment where the efficiency of system does not improve until which limit to raise a signal power potential from impulsive noise environment when the signal power potential which goes over this limit is supplied, BER efficiency improve much mo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