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ages.223-226
- /
- 2006
만화 그림체가 애니메이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Drawing Style of Comics in Animation
초록
만화의 영향에 따른 애니메이션의 그림체에 대한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연구에 기본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출판만화와 셀 애니메이션은 드로잉과 이미지의 연속성과 서사적 기반의 이야기 구조를 통한 공통점을 소유하므로, 만화의 공간적 개념과 애니메이션의 시간적 개념을 차이에도 불구하고 매체적 전이의 용이함이 나타난다. 따라서 드로잉 기법의 애니메이션의 그림체의 연구를 위하여 만화의 그림체 연구는 필수적인 항목이다. 만화의 그림체의 종류의 분석을 통하여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를 분석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우선 만화 작가들이 그들의 만화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직접적인 사례의 분석으로 애니메이션의 그림체의 현황을 파악하고 만화의 그림체의 분류를 적용하여 애니메이션의 그림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그 결과 만화의 그림체를 통하여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를 분류할 수가 있고, 그 영향에 대한 입증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명랑만화체, 극화체, 순정만화체들 중에서 명랑만화체와 극화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순정만화체는 거의 찾을 수가 없다. 또한 극화체에서 명랑만화의 부분적 삽입 현상도 나타나며, 이것은 정서적 이질감을 통하여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브레히트의 이론에 따라 소외효과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만화 그림체가 애니메이션 그림체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연구에 하이브리드적 매체간 유기적 결합의 연구에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It can formulate a basic concept to the study on styles of drawing on animation which is influenced by styles of drawing on comic. Especially the transferability of comic and eel animation have high possibility because they have common part as drawing, continuity of imagery and narrative, in spit of the differentiation with comic for spatial and animation for temporal. So the study on comic drawing styles are inevitable check point for investigating it's animation. To analyse of the style of animation drawing, can be employed the styles of comic drawing. For a case study, comic authors and their works is utilized for establishing basic concept of transferring comic to animation with the influence of drawing styles to animation and than it will apply to classify and analyse animation by them.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t can be sorted in the three areas that are the cheerful comic, the drama, the boy-meets-girl comic. and can be proved that the close relationship of comic and animation. Among three aspects, a boy-meets-girl comic can not be detected in any selected animations. The presumption of this result that can be apply to the general idea which is a rare case to use in animation. Also to use partly cheerful comic to drama style as different drawing styles is for elucidating the effect of intending isolation with the play theory of Bertolt Brecht and empathizing dramatical situation through the disparity of emotio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influence of the drawing style of comics in animation, and can provide the basic ideas of inter-relation of media through drawing styles study with the concept of hybri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