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alidity of Proper Maximum Navigation Speed in a Straight Waterway

직선항로에서의 적정 최대속력에 대한 타당성 검토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6.05.12

Abstract

Recently, vessel's average speed in the sea becomes fast because of the increasing of high-speeds vessel like a container ship and ferry. So, it is considered that speed control in the korean narrow waterway isn't the proper vessel traffic management, now. And, there is a rare paper studied about speed control quantitatively and numerically, especially speed control is discussing continuously, as abrogation of Incheon Port's speed control and alleviation of Kwangyang Port's speed control a according to navigating mariner's request. After this paper replayed the navigation traffic flow in the straight waterway using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the Environmental Stress Model is introduced to evaluate difficulty of each vessel's traffic.

컨테이너 선박 및 고속선 동과 같이 고속인 선박의 등장으로 해상에서의 평균 통항 선박 속력은 이전보다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정해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현행 교통 밀집해역에서의 속력규제는 수십년전의 규정으로 현재의 교통상황에 잘 부합되지 않는 제도라고 사료된다. 특히 그 해역을 항행하고 있는 선박운항자의 주장으로 인천항의 속력규제 폐지, 광양항의 속력규제 완화 등 속력규제에 관하여 논의가 계속되고 있지만 이러한 협수로에서의 속력규제에 대하여 수치화, 정량화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직선항로에서의 통항선박의 흐름을 재현한 후, 선박운항자의 선박운항 부담감을 정량화한 환경스트레스 모델 (ES Model)을 이용하여 속력규제에 대하여 분석하여 최대속력규제의 효과 여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