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05.05a
- /
- Pages.273-277
- /
- 2005
Cerebral activation related with morphological priming effect in production of Korean Endings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관련 대뇌 활성화
- Hwang, Yu-Mi (Department of Linguistics. Korea University) ;
- Shin, Jung-Moo (Department of Psychology. Korea University) ;
- Lim, Soo-Mee (Department of Radiology.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
- Ryu, Keun-Taek (Department of Radiology.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
- Khang, Hyun-Soo (Siemens Korea) ;
- Yi, Kwang-Oh (Department of Psychology. Yeungnam University) ;
- Nam, Ki-Chun (Department of Psychology. Korea University)
- 황유미 (고려대학교 언어과학과) ;
- 신정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 임수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방사선과) ;
- 류근택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목동병원 방사선과) ;
- 강현수 (지멘스코리아) ;
- 이광오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05.05.28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어말어미 산출시 나타나는 대뇌 활성화 영역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가지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은 어말어미의 기본형을 주고 이를 의문형, 명령형으로 산출하는 고립단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제 조건으로 모음변환조건(C1)과 아라비아문자보기(C2)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의 결과 ‘어말어미-C1’ 조건에서 좌반구의 측두엽과 전두엽부분의 의 활성화 superior temporal gyrus와 inferior frontal gyrus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어말어미-C2’ 의 조건에서 우반구에서 후두엽의 활성화와 좌반구에서의 후두엽, 전두엽, lingual G, Cuneus, fusiform G, inferior occipital G에서의 활성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2는 명령형과 의문형 어미의 형태점화효과와 관련된 대뇌 활성화 영역을 관찰하기 위하여 Er-fMRI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실험 조건은 어미동일조건, 어간반복조건, 무관련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들은 점화자극이 제시된 후 신호가 제시되고 나오는 표적단어를 의문형 또는 명령으로 산출하도록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뇌 활성화 영역을 분석한 결과 의문형과 명령형을 산출할 때의 활성화 영역에서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