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f region-based site functions into the traditional market environmental support funding policy development

재래시장 환경개선 지원정책 개발에서의 지역 장소적 기능 도입

  • 정대용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
  • 이세호 (숭실대학교 대학원 벤처중소기업학과)
  • Published : 2005.05.20

Abstract

The traditional market is foremost a regionally positioned place, wherein the market directly represents regional and cultural centered traits whil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irculation of facilities through reciprocal, informative and cultural exchanges while sewing to form local communities. The traditional market in Korea is one of representative retail businesses and premodern marketing techniques by family owned business of less than five members such as product management, purchase method, and marketing patterns etc. Since the 1990s, the appearance of new circulation-type businesses and large discount convenience stores escalated the loss of traditional competitiveness, increased the living standard of customers, changed purchasing patterns, and expanded the ubiquity of the Internet. All of these changes in external circulation circumstances have led the traditional markets to lose their place in the economy.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revive on a regional site basis through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regional neighbors and through knowledge-sharing that leads to the creation of wealth.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wealth in a place, the following components are necessary: 1) a facility suitable for the spatial place of the present, 2)trust built through exchanges with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which would simultaneously satisfy customer's desires, 3) international bench marking on cases such as regionally centered TCM (England), BID (USA), and TMO (Japan) so that the market unit of store placement transfers from a spot policy to a line policy, 4)conversion of communicative conception through a surface policy approach centered around a macro-region perspective. The budget of the traditional market funding policy was operational between 2001 and 2004, serving as a counter mov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ld traditional market through government intervention in regional economies to promote national economic strength. This national treasury funding project was centered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research corps, and business modernization through the expenditure of 3,853 hundred million won (Korean currency).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has yet to be to proven through investigation. Furthermore, in promoting this funding support project, a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merchants in the market led to constant limitations in comprehensive striving strategies, reduced capabilities in middle-and long-term plan setup, and created reductions in voluntary merchant agreement solutions.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go beyond mere physical place and ordinary products creative site strategies employing the communicative approach must accompany these strategies to make the market a new regional and spatial living place. Thus, regarding recent paradigm changes and the introduction of region-based site functions into the traditional market, acquiring a conversion of direction into the newly developed project is essential to reinvestigate the traditional market composed of cultural and economic meanings, fo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Excavating social policy demand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as well as innovative and expert management leadership development for NPO or NGO civil entrepreneurs through advanced case research on present promotion methods is extremely important. Discovering the see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cored around regional resource usages, commercializing regionally reknowned products, and constructing complex cultural living places for regional networks are especially important. In order to accelerate these solutions, a comprehensive and systemized approach research operated within a mentor academy system is required, as research will reveal distinctive traits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the aging society.

재래시장은 지역의 중심지적인 특성과 문화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지역 거점지이며 인근 지역주민의 상거래라는 1차적 장소적 기능과 사회문화적 측면의 상호 정보문화교류, 커뮤니티 공간 형성으로 유통의 집객시설과 집적시설로서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5인 이하 가족 단위의 생계형으로 취급상품, 구입방범, 판매방식 등이 전근대적인 경영기법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 소매업태로서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1990년대 이후 신유통업태와 대형할인점 진출로 인해 재래시장은 급격한 경쟁력 상실과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의 향상, 구매패턴의 변화,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등 외부적인 유통 환경변화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고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민경제의 발전 측면에서 고령화된 재래시장에 대한 대책 중 정부의 예산지원 정책으로 환경개선사업, 연구용역, 경영현대화중심의 국고지원 사업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총 3,853억원의 국고가 지원되었으나 활성화 사업의 실효성에는 아직 정확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원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시장상인리더들의 전문성결여로 종합적인 추진전략과 중장기적 계획수립 및 자발적인 상인들의 합의점 유도 반감으로 지속적인 사업추진방향에 한계점을 나타냈다. 재래시장이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물리적인 장소적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역 장소적 생활공간으로 커뮤니티적 접근을 통한 장소적 창조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업 방향 전환을 통해 재래시장의 장소적 기능 도입을 동해 문화적 경제적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재조명을 동해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래시장은 지역 기반으로 한 지역생활자들과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상호 형성하고 정보와 지식 공유를 통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되어야 할 것이다 재래시장이 부 창출 공간으로 재생하려면 시대적 장소적 환경에 맞는 시설과 교류활동을 통찬 상호신뢰구축 활동 속에서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영업환경도 변화하여야 하며, 지역단위 중심 영국의 TCM, 미국의 BID, 일본의 TMO 등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단위 시장상가 점포단위의 점(點)정책에서 선(線)단위의 상가로 환경사업과 거시적인 지역단위중심인 면(面) 정책적 접근을 통한 커뮤니티적인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비교 분석을 통해 사회적 정책수요 발굴과 기존의 추진방법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를 통한 NPO, NGO 등의 시민기업가와 이를 수행키 위한 혁신성과 전문성조정능력을 갖춘 리더자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자원 활용 소스 중심의 문화관린 산업의 seeds 발굴과 향토상품의 상품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