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상에 따른 그림과 글의 소통과 변화 현상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Image and Text in the Present Cultural Conditions

  • 이순구 (공주대학교 만화예술학부)
  • 발행 : 2005.11.01

초록

그림과 글의 표현방법에 있어 시각적으로 매우 다르다. 하지만 원천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같은 뿌리임을 알 수 있다. 그림과 글은 중세의 필사 본이나 인쇄매체의 발견이후 대중들에게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다한 후 이미지와 텍스트로 완전 분리하는 시기에 이른다. 이미지가 텍스트로 해석되고 텍스트가 이미지의 도움을 받아 대중과 소통이 활발해지는 상호 교류형태는 문학과 시각예술의 매체화 경향에 따른 학제 간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뉴미디어 속에 파고든 시각형상과 문자는 그 용도가 다양하며 하이퍼텍스트의 기능에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커뮤니티의 방법이다. 이에 따른 그림과 글의 역사적인 소통체계와 변화과정을 전개하였고 현대적인 신상형문자발생의 근원을 찾아 제안하였다.

Painting and writing are exceedingly different in the way they are visually express. However, if one were to trace the roots of both painting and writing, one would discover the two have the same origins. At one time, both painting and writing fulfilled the function portraying mutual or reciprocal messages to the masse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time of medieval manuscript and typography, they were separated completely into image and text. Today, the images are interpreted into the text. Meanwhile, the text better communicates its ideas to the masses through additional support of the simultaneous image. The joint use of the shaping of mutual exchanges between literature and visual art is being enlivened between scholars through their tendency to converse or communicate through the media. Moreover, the visual configuration and characters that strike into the new media are one of the various uses and the significantly important methods of deliberative communication that are necessary for hypertext functioning. In the following text, I will expande and develope the historical communication scheme and the process of modification of painting and writing, lead the origination of modern new-pictograp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