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계 사료중 미역과 뱅코마이신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최도열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임진택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박인경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최준영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이혜정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이범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이호연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박재우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 고태송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영양생명과학 실험실)
  • 발행 : 2005.11.18

초록

미역사료는 산란계의 질소 균형을 뱅코마이신 사료보다 유의하게(p<0.01) 높였으나 뇨산태 질소 배설량은 두 사료사이에 유의차가 없었다. 체중당 또는 대사 체중($kg^{0.75}$)당 ME 이용성은 미역사료와 뱅코마이신 사료에서 기초사료보다 낮으나, 실험 사료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란계는 미역사료를 가장 많이 섭취(p<0.05)하였고, 산란일량은 미역사료에서 높았으며, 계란 생산성은 실험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01),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p<0.001)가 있었다. 난각 두께는 미역사료가 기초사료보다 높았다. 하우 유니트는 미역사료에서 기초사료보다 높았고, 뱅코마이신 함유사료 급여 시 가장 낮았다. 미역 사료를 급여한 닭은, 기초사료에 비해서, 난백 CuZnSOD 활성, 적혈구의 MnSOD 활성과 혈장 과산화물 분해효소의 활성을 높였으나 혈장 과산화물 농도는 감소시켰고 PHA-P 자극에 의한 PBMC 증식도를 증가시켰다. 본 성적은 미역 2.0%사료는 산란계체내 단백질 합성 증가와 계란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며, 이것은 계란과 혈액내 항산화계 조절과 혈액내 면역 세포 활성의 조절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dietary brown seaweed and vancomycin on the performance, layers(Isa brown) were fed on basal diet and diets containing 2.0% of brown seaweed or 10ppm vancomycin. Brown seaweed diet significantly increased(p<0.01) nitrogen balance in layer, while excretion of uric acid nitrogen and metabolizable energy utilization were not different among diets. Layer consumed more the brown seaweed diet(p<0.05). Egg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s but reduced(p<0.0001) with the experimental period passed. Layer fed brown seaweed diet gave thicker shell eggs, higher Haugh unit and higher egg white CuZnSOD activity compared with those in basal diet. Also, Brown seaweed diet increased MnSOD activity in erythrocyte cytosol and peroxidase in plasma, but decreased peroxide level in plasma, and increased proliferation of PBMC stimulated with PHA-P The result indicated that brown seaweed 2.0% diet in layer improved egg quality and performance due to increased protein synthesis which were related to regulation of antioxidant system and immune cell function in blo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