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환경평가를 위한 지구물리${\cdot}$지구화학탐사의 적용사례

Application of geophysical and geochemical methods to investigation of AMD environment

  • 김지수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한수형 ((주)지오제니 컨설턴트) ;
  • 최상훈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발행 : 2005.05.01

초록

충북 장풍, 전남 광양, 충남 임천의 세 개의 폐광산을 대상으로 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침출수의 유동경로, 매립된 광미 및 폐광석의 파악, 광산 폐수의 배수관 탐지, 갱도와 인공차수막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상관 해석 결과 물리탐사 자료는 물시료 분석 자료(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중금속, 황산이온)와 잘 일치하고 있다.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침출수의 유동경로는 전기비저항 및 자연전위탐사로 탐지 가능한 반면에 폐광석, 산성광산배수의 배수관, 인공차수막 등은 탄성파 굴절법, 전기비저항, 지하투과레이다탐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파악되었다.

Geophysical surveys were performed in three abandoned mines: Jangpoong, Kwangyang, Imchon. The main objectives of the researches include delineating the pathways of leachate from acid mine drainage(AMD), mapping buried rock wastes and tailings, detecting drainage pipes, and investigating the gallery and membrane, if they exist, Geophysical respons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results from water sample data(i.e., pH, EC, heavy metal contents, $SO_4^{-2}$). Main pathways of the leachate were successfully detected in electrical resistivity sections and self-potential(SP) profiles, whereas waste rocks, drainage pipes, and membranes were effectively located by incorporating seismic refraction, electrical resistivity and GPR metho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