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in the Dok Island, East Sea

독도 주변해역의 지구조와 퇴적환경

  • Huh Sik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Park Cha-Hong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Yoo Hai-Soo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 Han Sang-Joon (Marine Geoenvironment &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DI)
  • 허식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 자원연구본부) ;
  • 박찬홍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 자원연구본부) ;
  • 유해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 자원연구본부) ;
  • 한상준 (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 자원연구본부)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A maximum of 3 km thickness of sediments were deposited above basement deformed by volcanic activities around the Dok Island. As the geological structure, the tension caused the basement-involved normal faults in the early stage of basin formation, whereas the sediment layers showed normal faults, volcanic domes and sill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From the distribution of volcanics in order of age at the Ulleung Basin, volcanic activities were increased toward the northeastern direction (toward Dok Island). The study area is characterized by extensional crustal deformation before sediment deposition during the Early or Middle Miocene age, After the Late Miocene age, the basin was deformed by deep buried volcanics or subsidence of basin, in consequence, became complex geological structures.

독도 주변 해역에는 최대 3 km 두께의 퇴적층이 화산활동에 의해 변형된 기반암 위에 집적되어 있다. 지질구조로는 기반암에 분지 형성 시기에 생성된 정단층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반면, 퇴적층 내에는 화산활동에 의한 정단층, 화산돔 및 화산수평맥 등이 우세하게 관찰된다. 이들의 각 시대별 분포로부터 울릉분지에서는 북동쪽(독도 방향)으로 가면서 화산활동이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퇴적층이 집적되기 전인 초${\cdot}$중기 마이오세 이전에 조사지역은 확장성 지각변형이 우세했으며, 후기 마이오세 말기 이후에는 지하내부의 화산체 활동 및 분지의 침강 등의 지구조 운동에 의해 변형되어 현재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분지를 형성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