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Coastal Change from Using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 the Parcel under the Sea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탐지에 관한 연구 : 포락지 중심으로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서영찬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양지연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박소영 (부산발전연구소) ;
  • Published : 2004.10.15

Abstract

The erosion(or sediment) reaches very serious level due to the aftermath by the imprudent reclamation on the coast. Continuous studies for long on coastline erosion may be warranted and possible countermeasures proposed because the change of the coastline has been progressed slowly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 wide area. Many experts anticipate that the global sea level's average increase by 19-35 cm due to global warming may certainly have an effect on the coastal erosion throughout the world. Thus, a more rigorous study on the causes of changing coastlines is particularly proposed to find ways to counteract any possible threats against coastal environments. In this study,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datum were utilized to quantitatively analyze coastal erosion and sediment patterns. This paper also seeks to prove that a parcel under the sea occurred due to relatively significant changes to the coastline. We created Ortho aerial photo using aerial photos taken each decade ('81, '93, '00), overlaid them onto a cadastral registration map, and calculated each amount of erosion and sediment while accounting for the tide level and without considering i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propose that the methods of Ortho aerial photo and the marine observation datum were the effective ways of change detection in erosion, sediment, and artificial reclamation of the coastline for a long time.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후유증으로 침식(또는 퇴적) 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해안선 변화는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 서서히 진행되어 원인규명 및 대책제시에 오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기후온난화 결과로 향후 1백년 내에 전체 지구해수면이 평균 $19{\sim}35cm$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연안환경변화에 대비 지속적인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 침식과 퇴적 경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해안선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포락지 발생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약 10년 주기로 정사항공사진을 제작하고 토지임야도를 중첩시켜 조위를 고려하였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침식 및 퇴적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기해안선 변화탐지에 정사항공사진기법과 해양조사 측량을 이용하는 것이 침식 및 퇴적, 인공매립 등의 유효한 변화탐지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