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기 벽면 막냉각에 주유동의 난류강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instream Turbulence Intensity on Film Cooling of Combustor

  • 김영봉 (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 이동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 조형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
  • 함희철 (국방과학연구소) ;
  • 배주찬 (국방과학연구소) ;
  • 오민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발행 : 2004.10.01

초록

연소실 내부에서 주유동의 난류강도가 엇갈린 배열의 사각홀의 막냉각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주유동의 $10\%$ 난류강도 하에서 온도장 및 단열 막냉각 효율이 측정되어졌다. 온도장의 결과는 주유동의 높은 난류강도에 의해 전체적인 값들이 감소하고, 두터운 냉각유체 막이 형성됨을 보였으며, 흘 인접영역에서 주유동의 높은 난류강도에 의해 낮은 막냉각 효율 값을 보이지만, 하류로 진행함에 따라 냉각성능의 차이가 줄어듦을 보였다.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mainstream turbulence intensity on film cooling performance of staggered rows of rectangular holes in combustor. Temperature fields and adiabatic film cooling effectiveness under $10\%$ mainstream turbulence intensity are measured. The results of temperature fields show that overall values are decreased and thicker film of coolant is formed downstream of rows of holes for high mainstream turbulence intensity. The results of film cooling effectiveness show that the values around the holes are smaller than the case of the low mainstream turbulence intensity, however, the difference of film cooing performance is decreasedforthefurtherdownstrea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