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장치의 표현특성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pace in Image Equipment Characteristic

  • 유재엽 (부산경상대학 산업디자인과)
  • Yoo, Jae-Yeup (Dept. of Industrial Design . busan kyungsang college)
  • 발행 : 2004.05.29

초록

현대 산업사회에서 정보기기의 발달은 영상이 멀티미디어, 정보 전달 매체 도구, 예술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은 재현의 장치이며 소리와 빛 음이 복합적으로 형성된 시청각적 이미지 전달매체이다. 영상이 지니는 직관적이며 감각적인 표시성은 대상물을 재현하고 동시성을 지닌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또는 의미 전달체로서 허구, 사실, 비 허구, 비 사실을 모두 나타낼 수 가 있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앞으로 영상의 영역은 점차 넓혀질 것이며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속에서 감각되는 인식의 세계는 다양하게 흡수하여 반응하게 될 것이다. 이에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 영상장치와 이를 포함한 공간과의 관계설정 측면에서 본 연구는 영상과 공간이 내포하고 있을 환경적 의미 즉, 영상과 공간, 인간과 상호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공간적 장치로서 공간 속에서 영상매체와 장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영상장치가 공간에 미치는 영향과 표현 특성은 '상호교감의 표현매체', '형이상학적 초 피막 공간 구성제','오브제'의 3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영상장치와 공간과의 관계 의미 분석을 통한 영상 설치물의 목적별 공간 접근 방법과 공간 레리아웃의 틀을 기대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machinery and tools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image is expressed diversely as tools of informational transmission and artistic communication. This image is revival equipment and transmissional media in which sound and light are comprehensively formed. The image's intuitive and sensational expressivity can revive subjects and express a fiction, a reality, a nonfiction, and a virtual reality as a communication tool that has synchronicity and the medium of meaning. Because of this, the domain of the image will be gradually extended in the future, and the world of cognizance that can be detected across our living space will absorb the image diversely and react. In this context, the investigator examined what influence image media and equipments have in space as spatial equipment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errelation among the image, space, and mankind, namely, the environmental meaning the mage and the space contai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aspects of relationship establishment between image equipments that are ever expansive to a variety of domains and the space that accommodates the equipments. As study findings, the influences the image equipments have on space and their expressional features are presented in three aspects: 'the expressional medium of mutual synergy','metaphysical ultra-epithelial space constituent',' and 'object'.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we can expect the spatial approach method by purposes and spatial layout of image structures, with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 between image equipments and spa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