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M Best Practice Checklis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ology And searching a correlation with a project performance

다기준의사결정법을 이용한 CM Best Practice 체크리스트 개발 및 사업 결과와의 상관관계 규명

  • 이태식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박세진 (한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최재호 (한국건설관리공사)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ome to large. So, construction management is needed. In Korea, an organic law about construction industry was made in 1996. And CM was introduced, too. But CM is not activated with institutional inertia. A reason Is a perpetual friction between CM and Gamri. And it is not thoroughgoing enough about supply of CM's effect with Chf Best Practice checklist and Key Performance Index. This study will develop the CM Best Practice checklist with CM's work and technique in project-dimensional. The CM Best Practice checklist will guide to have a good result.

건설 사업은 점차 대형화 되어 가면서 건설사업의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6년에 '건설산업기본법' 제정 시 건설사업관리가 도입되었지만, 제도의 미비 등으로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CM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기존에 정착한 감리제도와의 마찰 때문이기도 하지만 CM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의 보급과 성과측정을 통해 CM의 효과를 보급하는 과정이 미흡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CM이 도입된 지 10여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발전해 가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성과측정과 평가를 통한 활성화는 부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젝트 차원에서 CM분야와 요소 기술을 고려한 Best Practice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성과측정 시 보다 나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