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보포탈과 직무성과와의 관계

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and job performance

  • 발행 : 2003.05.01

초록

지난 몇 년간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기업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 중 하나가 전자적인 형태로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양의 급증이라 할 수 있다. (Martin White, 2000 : 신학철, 2001) E-business 환경에서 이처럼 정보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은 기업의 주요 경쟁원천이 되고 있다. 정보의 중요성을 깨달은 기업들은 운영효율성 증가를 위해 백오피스시스템과 프론트오피스시스템 등에 많은 투자를 했다. (안승용, 2001) 하지만 새로운 정보시스템 도입 시 레거시시스템과의 통합을 고려하지 않아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정보기술이 역으로 업무수행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Jaydip, 2002) 예컨대 기업의 각 시스템간에 정보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필요한 정보 역시 기업내 여러 시스템에 산재되어 있어 정보의 이용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각 시스템에 산재해 있는 정보사용의 효율성을 놀이기 위해 기업 내 다양한 정보시스템간 통합의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이전까지 분산 환경이던 IT환경이 점차 기업정보포탈(Enterprise Information Portal: EIP)같은 통합 환경으로 바뀌게 되었다. (KRG Report, 2002) EIP는 현재와 E-business를 준비하는 기업에 중요한 관심사항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 IBM, MS 같은 글로벌 기업 뿐 아니라 다수의 국내 업체들도 통합 솔루션 시장 진출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IP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의 정보시스템과 EIP 관련 연구를 기반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EIP의 성과를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로 측정하여 이들 요인이 EIP사용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EIP를 도입한 기업을 대상으로 EIP성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EIP를 도입하거나 구현중인 기업에게 적합한 경영관리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