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Process Based on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시스템에 기반을 둔 의류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이지원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인지과학협동과정)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Entering the period of Mass Customization, and with the help of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wo customer involved design process models, based on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ology, and to compare their efficiencies and appropriateness with those of the existing design process model, which would lead us to discover the possibilities of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By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survey of 166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 second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which gave most choices to prosumers was preferred the most, while the existing design process which gave no choice seemed to be preferred the least, and among the design elements of textile, color appear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 in the preference of the clothing by the consumers. In summary, it appeared that every aspect of the society requires a shift in the process of the thought from Mass Production to Mass Customization at this point, and a guideline was made from the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suggested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 트렌드의 부상과 그 맥락을 같이 하여, 텍스타일 분야의 혁명이라 일컬어지는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술을 기반으로 한 소비자 참여형 의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두 가지를 제안하고, 기존의 고전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와 이 모형들 사이의 효율성, 적합성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대량 맞춤화 시대를 위한 새로운 의류 디자인 프로세스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20대∼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들은 선택의 기회를 가장 많이 가질 수 있는 대량 맞춤화형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응답자들은 의류 소재의 디자인 요소 중에서 문양보다는 색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획일화되고 대량화된 상품보다는 보다 차별화되고 자신의 요구를 반영한 상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수요를 발견하였으며 이에 부응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지표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