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02.11a
- /
- Pages.120-121
- /
- 2002
Monascus Purpureus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onascus Purpures(MP)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and egg qualify in laying hens. In Expt 1, MP were supplemented with 0. 0.5, 1.0, 2.0, 4.0% in basal diets.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were examined for five weeks and blood cholesterol, protein were measured at the end of experiment. In Expt 2, diets supplemented with 0, 0.5, 1.0, 2.0, 3.0% MP were fed for two weeks. Egg qualify and yolk cholesterol were weekly measured. In Expt 1, Basal diets containing CP 21.5, 19%, ME 3,100, 3,200 kcal/kg were fed ad libitum for starting and finsihing period, repectively. In Expt 2, hens diet contained CP 16%, ME 2,800 kca1/kg and fed for two weeks. In Expt 1, weight gain of birds fed 2.0% MP was maximized at five weeks of age. Feed efficiency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ut tended to improve in 1.0, 2.0% MP supplemental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Total serum cholesterol tended to be lower in 2.0% MP supplementa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Expt 2,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of birds fed 1.0 and 2.0% MP were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Yolk cholesterol of hens fed MP diets showed no significance.
Monascus Purpures(MP)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성장과 계란의 품질 및 난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 1에서 1일령 육계 수컷 320수를 이용하여 사료내 MP는 0, 0.5, 1.0, 2.0, 4.0% 수준으로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6수씩 전체 320수에 5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혈청의 콜레스테롤, 단백질함량은 실험 종료시에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32주령 산란계 30수를 처리구당 6수씩 개체별로 수용하여 사료내 MP가 0, 0.5, 1.0, 2.0, 3.0%수준으로 4주간 급여하였다. 조사항목은 난각강도, 난각두께, 호유닛, 계란의 콜레스테롤을 주간별로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기초사료는 사육 전기 3주와 후기 2주간에 각각 CP 21.5, 19.0%, ME 3,100, 3,200 kca1/kg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실험 2에서는 CP 16%, ME 2,800 kca1/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실험 1에서 증체량은 2.0%MP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1.0, 2.0% MP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콜레스테롤은 MP 2.0% 급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지 만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 2에서 난백의 높이와 호유닛은 0.1과 0.2%MP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