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방지구의 사초 생산과 이용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Southern Area of China

  • Jiang, Y.Q. (Zhejiang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 Liu, J.X. (Zhejiang University) ;
  • Zhou, W.D. (Zhejiang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 Huang, X. (Zhejiang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발행 : 2002.09.01

초록

중국은 인구가 많고 경지면적이 적은 반면 인구의 계속적인 증가와 경지면적의 감소라는 이중압력을 받고 있어 곡물생산의 증가를 통한 축산업의 발전 잠재력이 나날이 축소되고 있다. 사료용 목초 재배를 통한 축산은 식량의 절약과, 고효율, 양질의 축산물 생산, 축산의 안전성과 지속성의 특징이 있어 중국의 특징에 부합된다. 본 문장에서는 첫째, 중국 남방지구의 자연과 사회 및 경제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사료용 목초의 생산, 이용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남방지구의 자연조건은 사료용 목초의 생산에 매우 적합하다. 사료용 목초는 주로 밭에서 재배하며, 품종은 일년생 또는 다년생 목초위주로 재배되고 있다. 사료용 목초의 대부분은 직접 사료로 이용되며, 사육대상은 초식성 가축과 가금 및 어류이다. 둘째, 중국 남방지구의 사료용 목초의 산업화 현황과 발전 추세 및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중국 남방지구의 사료용 목초의 산업화 수준은 높지 않지만 그 잠재력은 비교적 높다. 현재 주요한 문제점은 우량한 사료용 목초의 품종이 부족하며, 사료용 목초의 생산이 초기단계로 생산설비와 기술이 낙후되어 있고, 기계 화수준이 낮은데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남방지구의 사료용 목초의 생산과 이용현황에 대해 전체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China is the country with more people and more land, faced with the pressure of population growth and land decrement. The potential of developing animal husbandry by increasing feed grain per capita is less and less. "Planting forage to feed livestock" is a sustainable industry with grain-saying, high efficiency, good quality and safety, accorded with the conditions of China. First, the natural, social and economical condition in southern area of China was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 we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e natural condition in southern area of China was well suited for forage production. Forage was mainly planted on famland. Main herbage cultivars were annual or hibernal annual. Most of forage was directly utilized by herbivorous animal and fish. Second, The present situation, developmental trend and existing problems of forage industrialization were reviewed. The level of forage industrialization was low with a bright future. At present, the chief existing problems were lack of herbage cultivars of good quality, backward equipment, lagged techniques and low level of mechanization in forage processing with a short time and so on. Finally, the situation of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 was summariz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