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지하저장기지 건설을 위한 수륙혼합 탄성파탐사 사례

Case study on the lake-land combined seismic survey for underground LPG storage construction

  • Cha Seong-Soo (SK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 Park Keun-Pi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aral Resources (KIGAM)) ;
  • Lee Ho-You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aral Resources (KIGAM)) ;
  • Lee Hee-I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aral Resources (KIGAM)) ;
  • Kim Ho-Young (SK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 발행 : 2002.09.01

초록

남양호 수상탄성파 탐사는 호수 하부에 지하유류 비축시설 건설에 필요한 지반안정성 조사 및 설계변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전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조사지역이 바다에 면한 얕은 수심의 인공 호수로서 주변의 환경은 제방, 매립지, 초고압선 및 안전을 요하는 구조물로 둘러싸인 열악한 탐사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신뢰성 있고 효과적으로 조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상이한 4개의 탄성파 탐사법을 동일 지역, 동일 탐사기간 내 적용함으로서 탐사방법간의 상승효과와 탐사 자료해석 결과의 신뢰도 제고를 도모하였다 적용된 탐사법은 수상 단성분 반사법 탐사, 수상 단성분 굴절법 탐사, 육상 24성분 굴절파 탐사 및 수륙 혼합 24성분 굴절파 탐사 등이었다. 특히 수륙혼합 굴절파 탐사법은 국내에서는 최초로 응용된 사례이다. 조사면적 $1km^2$에 대한 총탐사량은 반사법탐사 31개 측선 34 Line-km, 소노부이탐사 14개 측선 육상 굴절파 탐사 1개 측선 890 m, 수륙혼합 굴절파탐사 8개 측선이었다. 반사법 탐사의 경우 호수저면의 지질학적인 특성인 얕은 심도의 무퇴적 내지 박층의 퇴적층과 기반암 분포로 중복반사가 심하였으나 호안 지역에서의 반사파 기록은 양호하였다. 수륙혼합 굴절파 탐사는 아주 양호한 기록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육상굴절파탐사의 경우 자료의 질이 수륙혼합 굴절파 탐사자료 만큼 좋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저속도의 표토층과 고압선으로부터 유도된 전기적인 잡음 때문이었다 반사법 탐사 결과 기반암구조는 대체로 평탄하며 수면 하 30 m 부근에서부터 발달하고 있다. 소노부이 탐사 결과 기반암은 신선암, 약풍화대 및 풍화대로 구분되었다. 수륙혼합 굴절파탐사 결과 기반암 속도 분포는 4.5 km/s 이상 지역, 4.0 - 4.5 km/s 지역 그리고 4.0 km/s 이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조사지역 북서부가 남동부보다 높은 속도분포를 보인다. 조사지역의 주요구조선은 북서-남동 방향성이다. 탄성파 탐사에서 예상된 단층대의 확인을 위한 시추조사가 추가되었으며 예상된 단층의 확인에 따라서 기존 설계의 변경이 있었다.

A lake seismic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ossible geohazards for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LPG storage at Namyang Lake. The proposed survey site has a land-lake combined geography and furthermore water depth of the lake is shallow. Therefore, various seismic methods such as marine single channel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survey, sonobuoy refraction survey, land refraction survey and land-lake combined refraction survey were applied. Total survey amounts are 34 line-km of high resolution lake seismic survey, 14 lines of sonobuoy refraction survey, 890 m of land refraction survey and 8 lines of land-lake combined refraction survey. During the reflection survey, there were severe water reverberations from the lake bottom obscured subsurface profiling. These strong multiple events appeared in most of the survey area except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 near the embankment where seems to be accumulated mainly mud dominated depositions. The sonobuoy refraction profiles also showed the same Phenomena as those of reflection survey. Meanwhile the results of the land-lake combined refraction survey showed relatively better qualities. However, the land refraction survey did not so due to low velocity soil layer and electrical noise. Summarized results from the lake seismic survey are that acoustic basement with relatively flat pattern appeared 30m below water level and showed three types of bedrock such as fresh, moderately weathered and weathered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bined refraction survey, a velocity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ke bottom shows three types of seismic velocity zone such as >4.5 km/s, 4.5-4.0km/s and <4.0km/s. The major fault lineament in the area showed NW-SE trend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Landsat image interpretation. A drilling was confirmed estimated faults by seismic surve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