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Identification and Their Contributions In Seoul Subway Stations Based on Number and Elmental Composition

분진의 개수농도 및 원소농도에 입각한 서울시 지하철 역사내 오염원의 확인 및 기여도 추정

  • 최형욱 (경희대학교 환경학과 대기오염연구실 및 환경연구센터) ;
  • 황인조 (경희대학교 환경학과 대기오염연구실 및 환경연구센) ;
  • 김동술 (경희대학교 환경학과 대기오염연구실 및 환경연구센) ;
  • 김신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11.01

Abstract

도시 집중화로 교통난과 토지 과부족 현상이 야기되었으며, 초고층빌딩과 지하공간의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지하공간의 이용률 급등에 따라 지하공기를 포함한 실내공기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연구문헌에 의하면, 현대인의 대부분은 하루 중 80 ∼ 95 %를 다양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Wiley et al., 1991), 실내오염원이 존재할 경우 실외대기보다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극심하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Hines et al., 1993).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