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를 이용한 주관적 감성 연구의 두 방법 비교

A Comparison of Two Research Methods on Human Sensibility Using Adjectives

  • 신미경 (한국표준과학연구 인간공학그룹) ;
  • 민병찬 (한국표준과학연구 인간공학그룹) ;
  • 정순철 (한국표준과학연구 인간공학그룹) ;
  • 박미경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 민병운 (한국표준과학연구 인간공학그룹) ;
  • 남경돈 (대전산업대학교 산업공학과) ;
  • 김수진 (한국표준과학연구 인간공학그룹) ;
  • 김준수 ((주)키맥스)
  • 발행 : 2000.11.01

초록

본 연구는 형용사를 이용한 향의 이미지 구조 연구에서 자극을 사용한 경우와 향을 제시하지 알은 두 경우를 비교하였다. 자극을 제시한 실험에서는 피험자에게 5가지의 향 자극을 주고 각 향에 대한 이미지를 25개의 형용사에 대하여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실험은 쌍 비교법을 사용하여 형용사를 두개 씩 쌍을 지워 제시하고 두 형용사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나타내게 하였다. 두 자료를 다차원 척도 (MDS), 군집분석,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향의 이미지 구조는 자극 제시여부에 따라 구조적이며 근본적인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자료 분포의 밀집정도에 따른 지엽적인 차이는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두 경우에 적용되는 기억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다르다는 점에서 기인되는 것이 라고 판단되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