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Philips Unified Mobility

Philips Unified 이동도 모델의 구현에 관한 연구

  • 윤석성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 윤현민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 이은구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 김철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고 농도의 반송자가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지배적인 산란 효과인 억셉터 및 도너 산란과 반송자-반송자 산란, Screening 효과를 수치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높은 바이어스가 인가된 경우 Slotboom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부동 소숫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척도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구현된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체 개발된 소자 시뮬레이터인 BANDIS를 이용하여, 척도변환에 대해서 n-MOSFET 소자로 17〔V〕이상에서도 모의실험이 가능함을 보였고, 전력 BJT 소자에 대해서 Philips Unified 이동도 모델의 모의 실험 결과, 상업용 2차원 소자 시뮬레이터인 MEDICI에 비해 척도변환은 최대 12%, Philips Unified 이동도는 최대 2.8%이내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