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 및 기도이물의 임상통계학적 고찰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e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 발행 : 1978.06.01

초록

식도 및 기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질환이며 특히 기도이물은 단시간내에 치명적일 경우가 있으므로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저자들은 1968년 6월부터 1978년 4월까지 최근 9년10개월간 본원에 내원하였던 95례의 식도 및 기도이들 환자들을 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식도 및 기도이물관자는 총 95례로서 식도이물이 89례(93.7%), 기도이물이 6례(6.3%)였으며 그 비는 14.8 : 1이었다. 2. 성별비에서는 64례(67.4%)가 남자였고, 31례(32.6%)가 여자로서 그 비는 2. 1 : 1이었다 3. 식도 및 기도이물을 종류별로 보면 식도이물에서는 주화. 바둑돌, 돌의 순서로 많았고, 기도에서는 땅콩 및 콩종류가 가장 많았다. 4. 연령별로는 5세이하가 64례(67.4%)였으며 특히 주화는 5세이하가 52례(92.9%)였다. 육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이물은 10세이하에서 발생하였다. 5. 년도별 및 월별분포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볼 수는 없었으나 최근 2년간 그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6. 식도 및 기도이물의 발생부위를 보면 식도이물은 제 1협착부에서 70례(78.7%)로 가장 많았으며, 육류는 계 2 협착부에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에서 상흔협착을 동반한 경우였었다. 기도이물의 부위별 빈도는 기관지가 가장 많았으며 3 : 2로 우측에 많았다. 7. 이물의 체류기간은 1일 이내인 경우가 50례(52.6%)로 가장 많았고 한달이상 경과한 후 내원한 경우도 3례가 있었다. 8. 식도이물은 국소마취하에 83례(93.3%)는 식도경을 통하여 제거하였으나 6례(6.7%)는 제거하지 못하였다. 기도이물 6례는 모두 기관지경을 통하여 제거하였으며 이중 5세이하의 5례는 기관절개공을 통하여 제거하였다.였다. 주화의 경우 총 61례중 8례(13.1%)는 검사도중에 위속으로 내려갔다. 기도이물에서 후두이물 2례는 국소마취하에 후두경으로, 기관이물 5례중 2례(40%)는 국소마취하에 기관절개술과 함께 기관지경술로, 3례(60%)는 전신마취하에 기관지경술로 적출하였으며 기관지이물 1례는 흉부외과에서 전신마취하에 개흉술로 적출하였다.과를 매년 보고하는 한편 15년간 단속 followup할 예정이다.to-$PGF_{1{\alpha}}$생성증가 효과는 prostacyclin 합성효소억제제에 의해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에 촉진데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발생하는 free radical을 소거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free radical을 50% 소거시키는 농도값이 6 $\mu\textrm{g}$/$m\ell$로 표준물질인 비타민 C (19 $\mu\textrm{g}$/$m\ell$)나 butylated hydroxyl toluene (18.5 $\mu\textrm{g}$/$m\ell$)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mast cell내에서 활성화되며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hyaluronidase에 대한 저해를 조사한 결과, $IC_{50}$/ 값이 210 $\mu\textr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a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field of otolaryngology, and th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s have much significance in clinical practice because they may cause sudden death. A statistical study was done on 95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who had visite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hung-Ang university from June, 1968 to April, 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case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was 95; 89 cases (93.7%) were in the food passage and the remaining (6.3%) were in the air passage. The ratio between the food passage and air passage was about 14. 8 to 1.0. 2. In distribution by sex, 64 cases (67.4%) were in male patients and the remaining 31 cases (32.6%) were in female patients.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2.1 to 1.0. 3. The kind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in the order of their frequency, were coin, gogame stone and pebble. In the air passages, the peanut and bean were most frequently found. 4. In distribution by age, 64 cases (67.4%) of all foreign bodies were found in children under 5 year old, and coin was the most common kind of foreign body. Except for meat, almost all of foreign bodies were found in children under 10 year old. 5. There was chronologically no significant tendency in incidence; the incidence, however, had decreased during recent 2 years. 6. In the location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passage, 70 cases (78.7%) were found at the first esophageal narrowing. Meat was more frequently found at second esophageal narrowing associated with cicatrical stenosis. Almost all of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was found in bronchi; 3 cases were in the right side of bronchi, and 2 cases were in the left side of bronchi and 1 case was in glottic region. 7. In duration of lodgement, 50 cases (52.6%) visited our hospital within 24 hours, and 3 cases after 30 days. 8. Under topical anesthesia, 83 cases (93.3%)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passage were removed by esophagoscopy, by 6 cases (6.7%) failed to be removed. All of the foreign bodies of the air passages (6 cases) were removed by bronchoscopy. Among them, 5 cases under 5 years old were removed by inferior bronchoscopy through tracheostomy si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