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atistical survey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식도 및 기도이물의 통계적고찰

  • Published : 1976.06.01

Abstract

The authors have been performed a statistical survey for 228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air passages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and removed endoscopically during the period of last 10 years from 1966 to 197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otal numbers of foreign bodies in the food and the air passages were 228 cases, and among of them 181 cases were foreign bodies in the food passage and 47 cases wer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The ratio between the food and the air passages was about 3.7 : 1. 2. The prevalent foreign bodies in the esophagus were coin, meat and food particles and bone in order of frequency. In air passage, bean and peanut were most prevalent foreign bodies and the next were metalic substances, fish bone in order of frequency. 3. In the age incidence, 65.4%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ies and 67.6% of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were under 5 years of age especially coin, 92.9%. 4. In sex distribution, 99 cases were female, and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1.3: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foreign bodies of the esophagus but the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were more prevalent in male as the ratio of 2.1:1. 5. The most prevalent site of lodgement in esophagus was first physiologic narrowing of the esophagus as the count of 83.8%. In foreign bodies of the air passage, bronchial foreign bodies were most frequent. And bronchial foreign bod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right side as the ratio of 3.7:1. 6. In duration of lodgement, 56.0% of foreign bodies of the food passage were removed within 24 hours and almost of them were removed within 5 days. In foreign bodies in the air passage, only 32.4% were removed within 24 hours but 29.7% were removed within more than 1 week in the air passage. 7. Under the esophagoscope, granulation tissue were noted in the 5 cases of the foreign bodies in the esophagus due to foreign bodies. In foreign bodies of the air passage, complication were encountered in the 4 cases and also removed surgically and among of them, 2 patients were expired due to complications during post operative course.

기도 및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임상에서 적지않게 발견되는 병환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환자들의 부주의로 인하여 예기치 않게 발생됨을 볼 수 있고 이물의 개재위치나 형태, 이물의 크기등에 따라서 기도나 식도의 생리적인 구조상 그 치료면에 있어서도 응급을 운하는 중요한 의의가 있다. 기도 및 식도이물은 대개 연령, 성별, 민족의 제한이 없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물의 종류, 빈도나 성격 등은 그 지방, 주민의 생활방식, 습관, 생활환경, 문화수준의 정도에 따라서 조금씩 그 양상을 달리할 수 있으며 과거, 많은 저자들에 의해서 발표된 보고에서도 이 같은 양상을 살펴볼 수가 있다. 이들 이물들은 대부분의 경우 내시경적 방법으로서 완전제거가 가능하나 이물의 종류, 개재부위나 상태등에 따라서 수술적 방법을 요구하는 수도 있다. 본 국립의료원 이비인후과에서 1966년부터 1975년까지 약 10년동안 내시경적 방법을 사용하여 이물을 적출한 바 있는 기도이물 47례, 식도이물 181례, 총 228례를 대상으로 종류별, 연령별, 성별, 부위별, 빈도 및 잔류기간을 과거의 여러 보고 예들과 비교하여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결과 (1) 식도 및 기도이물 총 228례중 181례가 식도이물치었고 47례가 기도이물이었으며 그 比는 총 3.7 : 1이었다. (2) 식도이물의 빈도는 동전, 육편 및 식괴, 골편의 순이었고 기도이물에서는 땅콩 및 콩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속류, 어골편의 순이었다. (3) 연령별 빈도는 식도에서 65.4%, 기도에서 67.6%로서 5세미만에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이 10세미만에 편재된 발생빈도를 보였다. 특히 주화의 경우에는 92.9%가 5세 미만이었다. (4) 성별비는 전체적으로 1.3 1로서 남자에서 약간 우세한 빈도를 보였고 식도이물에서는 1.19 : 1, 기도이에서는 2.1 : 1의 비를 보였다. (5) 개재부위별로는 식도이물의 경우, 제일협착부에서 83.8%로서 가장 많았고 기도이물에서는 기관지이물이 81.1%로서 가장 높았으며 우측기관지에서 좌측에 비하여 약 3.7배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6) 이물의 잔류기간은 식도이물의 경우에 56.0%가 24시간 이내였으며 대부분이 늦어도 일주이내에 내원하였고 일주를 경과한 례는 6.6%에 불과한 반면에 기도이물에서는 32.4%만이 24시간이내 내원하였으며 일주이상 경과한 예는 29.7%로서 식도이물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다. (7) 합병증으로는 식도이물의 경우, 오랜 이물의 개재로 육아조직이 증식된 예가 5례 있었고 기도이물에서는 4례에서 합병증 병발 및 기관지경으로서 제거가 불가능하여 수술적 처치를 요하였으며 이들중 2례에선 합병증으로 인하여 수술경과 중 사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