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100단음절의 명료도와 오청상에 관한 연구

Articulation Scores and Confusion Patterns of the 100 Monosyllable Korean Speech Sounds

  • 발행 : 1972.05.01

초록

청력검사의 검사자료로는 어음이 가장 적당하지만 검사어음의 선택에는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우리말 어음에 대한 공인된 검사용어표가 아직도 없다. 때문에 저자는 이 표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정상인, 각종향음하에서 정상인 및 난청자에 있어서 각각 그 명료도와 오청상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사용어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많은 박의 498어음중 100개를 선택하여 정상인에서 60㏈의 어음강도로 검사하였을 경우와, 여러 강도의 white noise와 speech noise를 어음과 동시에 주었을 경우와, 난청자에서 여러 강도의 어언을 주었을 때 반응결과를 검토하여 보았다. 일반적으로 얻은 결과는 명료도가 불량한 감음성난청자를 제외하고는 정상인, 소음하에서 정상인 및 난청자에서의 오청상은 어두자음, 모음, 어미자음 각각 그들 음소의 판별적 자질에 따라 혼동하는 경향이 있었다. 명료도가 불량한 난청에서는 상기 변화규칙에 예외 되는 경우가 많았다. 명료도가 불량한 감음성 난청에서는 상기 변화규칙에 예외 되는 경우가 많았었다. 비교적 강한 소음하에서는 소음의 종류에 따라 같은 강도라도 오청률의 차를 현저히 볼 수 있었다.

It is well known that speech signals are the most riliable materials for the hearing test and there are various difficult problems in the selection of these materials. Because of these difficulties, there is not a confirmed test material of Korean speech sound up to date. For the basis of the test materials, author had studied articulation scores and confusion patterns of 100 monosyllable korean speech sounds in normal listners, in normal listners under various noisy (white noise and speech noise) circumstances, and in patients with hearing loss, The results reveal as follows. 1. Except for perceptive deafness with poor articulation score, Confusion was occured among initial consonant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under above various test conditions. 2. There is remarkable differences in articulation scores between different kindes of noise under some intensity leve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