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Anti-aging Effects of 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

예덕나무 피 추출물의 노화 방지 효과에 관한 연구

  • 이강태 ((주)코리아나 화장품 연구소) ;
  • 이정노 ((주)코리아나 화장품 연구소) ;
  • 안기웅 ((주)코리아나 화장품 연구소) ;
  • 정지헌 ((주)코리아나 화장품 연구소) ;
  • 조병기 ((주)코리아나 화장품 연구소)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Aging is divided into intrinsic aging and photo-aging. Intrinsic aging is naturally occurred as the time passed and photo-aging is induced by the UV radiation of skin. The main reason of aging is the free radicals and the degeneration of the cellular materials by free radicals. In this paper, we checked the anti-aging effects of 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 It has the ability to scavenge free radicals and the SOD like activity. Also, it reduced the cell damage by hydrogen peroxide treatment. 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 showed the excellent activity on inhibiting the UV induced cell damage and DNA damage. In conclusion, 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 can be used as active ingredients for anti-aging cosmetics.

노화는 크게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로 분류된다. 내인성 노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되는 자연적인 노화이며, 광노화는 자외선에 우리 몸이 노출되면서 발생되는 노화 현상으로 주로 피부에서 잘 나타난다. 대표적인 노화 기작으로는 체내 활성 산소의 증가로 인한 생체 구성 성분의 퇴화를 들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활성 산소를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제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천연 식물 성분인 예덕나무 피 추출물이 노화 방지에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실험 결과들을 보여준다. 먼저, 예덕나무 피 추출물(Mallotus japonicus bark extracts)은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OD like activity를 가지고 있으며 과산화 수소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또한 광노화 방지 효과도 매우 뛰어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하여 주며 자외선에 의한 유전자 변이도 억제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덕나무 피 추출물은 피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노화 현상을 억제하는데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 물질로서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P. Brenneisen, K. Briviba, M. Wlaschek, J. Wenk, and K. Scharffetter-Kochanek, Hydrogen peroxide increases the steady state mRNA levels of collagenase/MMP-1 in human dermal fibroblast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2(3), 515 (1997)
  2. H. Tanaka, T. Okada, H. Konishi, and T. Tsuji, The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the biosynthesis of collagen and glycosarninoglycan in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85, 352 (1993)
  3. Y. Kawaguchi, H. Tanana, T. Okada, H. Konishi, M. Takahashi, M. Ito, and J. Asai, The effects of ultraviolet A and reactive oxygen species on the mRNA expression of 72-kDa type N collagenase and its tissue inhibitor in c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Arch Dermatol. Res., 288, 39 (1996)
  4. G. Rhie, M. H. Shin, J. Y. Seo, W. W. Choi, K. H. Cho, K. H. Kim, K. C. Park, H. C. Eun, and J. H. Chung, Aging and photoaging-dependent changes of enzymic and nonenzymmic antioxidants in the epidermis and dermis of human skin in vitro, J. Invest. Dermatol., 117, 1212 (2001)
  5. K. Furuno, T. Akasako, and N. Sugihara, The contribution of the pyrogallol moiety to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Biol. Pharm Null., 25, 19 (2002)
  6. K. T. Lee, Y. K. Yoo, S. W. Kim, J. H. Jeong, and B. K. Jo, Inhibitory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wer extracts on UV-induced skin damage,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7(1), 7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