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mand analysis of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for experiential type safety education

체험형 안전교육을 위한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의 수요 분석

  • Received : 2017.03.15
  • Accepted : 2017.04.21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umber of necessary facil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ducation facility for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situation and demand of safety experience education facilities so as to effectively implement safety education based on 7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of school safety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of the existing safety experience center were analyzed and the experience program was extracted based on the analysis. Based on the derived program, the experience space was set up, and the existing safety experience facility was analyzed accordingly. Based on this, the number of necessary facilities was suggested by using the calculation formula derived to estimate the scale of the facility expansion. This is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required number of facilities based on the 2015 school age population.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ratio by actually comparing the unit construction costs of the facilities and the vehicles.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necessary to plan for the long-term necessary facilities and vehicles for the construction plans.

본 연구는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기초하여 체험위주의 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안전체험교육시설의 현황분석과 수요분석을 통해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설립을 위한 필요 시설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및 기존 안전체험관의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학교급별 체험 프로그램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프로그램을 체험 공간화하여 설정하고, 이에 준하여 기존 안전체험시설을 현황분석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설 확충 수요 산정을 위해 도출한 산출식을 활용하여 필요 시설 수(체험시설 약95개소, 체험차량 약55대)를 제시하였다. 이는 2015년 학령인구를 기준하여 체험차량의 분담비율을 정하고 필요 시설 수를 산정한 결과이다. 장기적으로는 체험시설의 단위 구축비용과 체험차량의 단위 구축비용의 실제적인 비교를 통한 적정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고려한 중 장기적인 필요 시설 및 차량에 대한 구축 계획 및 연차별 확충을 위한 별도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유.초.중.고 발달단계별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발표 보도자료, 2015
  2. 교육부, 생명존중.안전사회 구현을 위한 교육분야 안전 종합 대책, 2014
  3. 국민안전처, 2014 전국 안전체험시설 안내, 2014
  4. 박효정, 안전교육 표준안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5. 소방방재청, 2013년도 안전행정위원회 국정감사 요구자료, 2013
  6. 소방방재청, 전국 이동안전체험차량 현황, 2013
  7. 이규은 외, 초등학교 안전교육 내용 체계 개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5권 제2호, 2012
  8. 조진일, 박성철, 송병준, 장재원, 방영현, 윤형욱,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표준모형(안)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