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MP Learner Basic Psychological Need factor on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 요인이 학습만족과 학습전이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이은혜 (렘넌트지도자학교) ;
  • 권두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Received : 2017.02.23
  • Accepted : 2017.03.16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recent entry into information socie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universaliz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rapid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roduced a new educational method called PMP learning. PMP learning overcomes restrictions of previous education methods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allows the learners to customize their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ir leads, providing voluntary education that centers on the learner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in academic achievement of PMP learners through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metastasi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tudy model which applies perceived autonomy, perceived compet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 which are major variables of the theory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was presented. For practical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udents of R High School in Hamyang.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in PMP learning. It also plans to suggest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supporting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Keywords

References

  1. 임순옥, "국내 PMP시장 현황," 정보통신정책, 제19권, 제13호, 2007, pp. 32-36.
  2. 미량.김재현, "요구분석을 통한 PMP의 교육적 활용방안,"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2008, pp. 9-21.
  3. 엄명용.김미량.김태웅, "PMP 활용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경영과학, 제24권, 제2호, 2007, pp. 95-114.
  4. 김동환.박만웅.신현길, "디지털 컨버전스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중심으로 -," 한국경영정보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 2006, pp. 1-15.
  5. 한경호.김희수, "ARM 9 임베디드 시스템에 의한 무선 컨텐츠 액세스 PMP 구현,"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2007, pp. 99-105.
  6. 김봉선.김인기.강민구.고재용.채종국, "PMP 기반의 입학관리용 모바일 플랫폼,"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9권, 제1호, 2008, pp. 539-541.
  7. 최이정, " DMB폰과 PMP의 작은 화면 사이즈 특성이 영상콘텐츠에 대한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2007, pp. 110-117. https://doi.org/10.5392/JKCA.2007.7.5.110
  8. 강민구.김인기, "무선랜기반의 교육용 PMP 서비스 설계," 인터넷정보학회지, 제9권, 제4호, 2008, pp. 31-36.
  9. 박영제.김현정, "소형 디스플레이 정보기기에서 3차원 정보시각화 활용에 관한 연구: PMP의 Navigation System Design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06, pp. 1783-1788.
  10. 전경애, "비디오 자기모델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도서관 이용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 Field, S, Martin, J, Miller, R, Ward, M, Wehmeyer, M., A Practical Guide to Teaching Self-Determination, Austin, TX : PRO-ED, 1988.
  12. 이숙정.유지현, "여생이 인식한 자기결정성이 진로스트스와 진로장벽 진로결정 수에 미치는 향," 아시아여성연구, 제48권, 제2호, 2009, pp. 35-64.
  13. 김성수, "기본심리욕구, 생애목표,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제29권, 제1호, 2015, pp. 1-25.
  14. 주영주.정애경.이민영, "기본심리욕구, 시스템 품질, 서비스품질 및 몰입이 Facebook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규명," 한국인터넷방송통신 TV학회 논문지, 제16권, 제3호, 2016, pp. 47-55.
  15. Ryan, R. & E.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y, Vol. 52, No.1, 2000, pp. 141-166.
  16. 김정숙, "지체장애인을 위한 기본적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 교육학회, 제54권, 제4호, 2011, pp. 305-321.
  17. Gagne, M., & Deci, E. L.,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6, No. 1, 2005, pp. 331-362. https://doi.org/10.1002/job.322
  18.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s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 37, No. 2, 1982, pp. 122-147. https://doi.org/10.1037/0003-066X.37.2.122
  19. Standage, M., J. L. Duda, & N. Ntoumanis., "A model of contextual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Using constructs from self-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goal theories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int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5, No. 1, 2003, pp. 97-110. https://doi.org/10.1037/0022-0663.95.1.97
  20. 천경민, "중학생의 운동에 대한 기본적 심리욕구가 운동 몰입과 운동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제14권, 제3호, 2010, pp. 469-487.
  21. Deci, E. L &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Y.: Plenum Press, 1985.
  22. 송지은.임정하, "부모수용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6권, 제4호, pp. 117-144.
  23. 송재홍.안연선.정은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수업의 질,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1호, 2014, pp. 179-203.
  24. 권인탁, "대학평생교육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제11권, 제3호, 2013, pp. 139-164.
  25. 이재범.노미정, "e-러닝 학습자 만족을 이끄는 것은 무엇인가? : 지각된 웹사이트 복잡성 (Perceived Website Complexity)과 e-튜터 (e-Tutor)의 역할,"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2010, pp. 2780-2792. https://doi.org/10.5762/KAIS.2010.11.8.2780
  26. 최희숙.전정수,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6권, 제5호, 2011, pp. 27-50.
  27. 하영자, "온라인 학습자의 과제가치와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10권, 제3호, 2010, pp. 577-598.
  28. 이지연,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9권, 제4호, 2006, pp. 27-61.
  29. 박영용.김진모, "기업 리더십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8권, 제4호, 2006, pp.215-539.
  30. 윤현진.윤관식.이병철,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전이 영향요인, 만족도, 학습, 학습전이 간의 관계 분석," 기업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2012, pp. 65-98.
  31. 이수경.김소나.변숙영.권성연, "기업 e-러닝의 학습전이 사례연구: 국내 보험사의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1호, 2010, pp. 45-70.
  32. 김준호,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2권, 제3호, 2010, pp. 19-48.
  33. 진선미.정은정, "사이버교육이 학습전이 기대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Andragogy Toda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제18권, 제3호, 2015, pp. 23-44.
  34. 정기범, "성인 여성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HDR연구, 제16권, 제3호, 2014, pp. 159-183.
  35. 조한익.김영숙, "청소년의 학업관련 투자시간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제30권, 제1호, 2016, pp. 225-253.
  36. 강명희.심혜진.박미순.김민정,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 (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교육방법연구, 제20권, 제1호, 2008, pp. 111-129.
  37. 정제영.이희숙.김수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 : 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2014, pp. 53-75.
  38. 노석준, "웹기반 원격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대학생 원격학습자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1호, 2007, pp. 99-130.
  39. 정시영, "학습관리시스템의 활용 효과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0. 고혜리.이희수.김정헌, "성인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학습열의, 교육만족, 참여지속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2016, pp. 101-125.
  41. 이동헌.임병훈.손영석.지범진, "자기결정성과 여행상품의 속성이 여행상품 선택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8권, 제2호, 2016, pp. 37-57.
  42. 임지영.박신의, "뮤지컬 관객의 SNS사용에서 자기 결정적 태도가 만족과 SNS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2호, 2014, pp. 155-184.
  43. 류숙렬,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제38권, 제1호, 2003, pp.161-181.
  44. 주영주.김가연, "기업 이러닝에서 직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직무자율성, 만족도, 학업성취도 및 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4권, 제3호, 2011, pp. 279-306.
  45. 오성호.김보영,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 환경요인이 지식공유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L전자를 중심으로," 한국HRD연구, 제11권, 제1호, 2016, pp. 81-107.
  46. 주영주.심우진.김은경.박수영, "기업 사이버교육 학습자들의 내적통제소재, 상호작용,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관계," 지식경영연구, 제10권, 제4호, 2009, pp. 31-42.
  47. Fornell, C. &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1981, pp.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48. Wigfield, A. & Eccles, J. S.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task values: A theoretic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Vol. 12, No. 3, 1992, pp. 265-310. https://doi.org/10.1016/0273-2297(92)90011-P

Cited by

  1. 다중 SNS 채널을 위한 RELAY 모듈의 구현 및 실험 vol.11, pp.4, 2017, https://doi.org/10.17661/jkiiect.2018.11.4.362
  2. Development Rubric for Creative Products Evaluation of Coding Education vol.22, pp.9, 2017, https://doi.org/10.9728/dcs.2021.22.9.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