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patial Changes in Commercial Districts using Survival-Exit Dynamics of Commercial Businesses in Seoul, Korea

사업체의 생존·폐업 기간을 활용한 서울시 상업공간의 변화분석

  • 최은준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도시계획) ;
  • 천상현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수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1.06.25
  • Accepted : 2021.12.08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commercial space in Seoul from 1999 to 2016 by investigating operating periods of commercial businesses. This study find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hanges in commercial districts a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two major points. First, the traditional CBD and Yeongdeung-po commercial districts show that both ages (survival duration) of operating commercial businesses and operating periods of market-exit businesses have changed to become longer than the average values of the two business types in Seoul. In contrast, the Gangnam and the Mapo commercial districts show that the operating periods of survived and closed commercial businesses have changed to become shorter over time. The difference suggests that survival-exit relations of business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ercial district.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each commercial district has experienced dynamic changes in the intensity of commercial activities and the hierarchy of commercial space. Finally, this study indicates that public policies for commercial space should consider survival-exit dynamics of commercial activities in commercial districts.

최근 높아진 개·폐점률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생존율은 낮아지고 조기폐업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부채 증가, 고용불안정과 같은 사회적 문제뿐만 아니라 도시공간 공동화라는 도시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상업공간 내 사업체의 변화양상과 높은 창·폐업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연구의 범위가 한정적이어서 서울시 전체지역 내 사업체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내 주요상권을 대상으로 폐업 및 생존한 사업체의 영업기간 변화를 활용해 각 상권의 특성을 논의한다. 분석 결과, 서울시의 상업공간 변화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도심상권(중구 및 종로구)과 영등포 상권은 사업체들이 안정적으로 영업하는 양상을 보이며, 국지적으로 활발한 사업체 변화를 보였다. 또한, 강남상권과 마포상권은 전체적으로 생존한 사업체들과 폐업한 사업체들 모두 짧은 영업기간을 보였다. 이런 상권별 변화특성의 차이는 영업체의 생존과 폐업활동이 상업공간의 장소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공간별 사업체 변화에 따른 적절한 해결책 제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며 (No. 2016R1A2B401 3843 및 No. 2020R1A2C2008443), 본 논문의 저자가 2018년 9월 한국지역학회 전기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및 최은준(2019)의 석사학위논 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References

  1. 강지수.전현배.조장희, 2017, "진입퇴출과 서비스업 생산성 성장: 과밀창업 억제 대상 자영업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5(4), 129-157. https://doi.org/10.22841/KJES.2017.65.4.004
  2. 국세청, 2017, 국세통계연보. 세종: 국세청.
  3. 곽원준.박연철.박주영, 2013, "한국 신생 개인기업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기업수준의 요인 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JSBI)(구 벤처경영연구), 16(4), 77-84.
  4. 김범식.최봉, 2013, "서울시 영세소매업의 특성분석과 정책 방향",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212.
  5. 남윤미. 2017,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한국은행 경제연구, 1-26.
  6. 문해주.이명훈, 2017, "상인의 운영기간별 영업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61-73.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061
  7. 박재은, 2015,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분석을 통한 도시재생정책 연구: 홍대앞 문화예술생태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서근하.이유태.노화봉.유점석, 2014, "소상공인의 과당경쟁실태가 신규사업 진입율과 폐업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JSBI)(구 벤처경영연구), 17(2), 13-32.
  9. 신민식.김수은, 2011, "영업주기의 결정요인과 조정속도", 산업경제연구, 24(4), 1925-1950.
  10. 안주엽.성지미, 2003,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노동경제논집, 26(2), 1-30.
  11. 윤윤채.박진아, 2016,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17(4), 17-32.
  12. 이동현.이재경.천상현, 2020, 서울시 성장상권과 쇠퇴상권 내 외식산업의 생존율 비교. 국토연구, 65-84.
  13. 이윤숙.문성욱, 2016, "창업의 수, 생존율 및 고용 성장에 관한 고찰: 1994년에서 2013년까지 서울시 사업체를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경영교육연구), 20(2), 121-141. https://doi.org/10.17287/kbr.2016.20.2.121
  14. 이정란, 2017, "업종다양성에 따른 상권의 형성 과정 및 변화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이현주, 2011, "영등포 준공업지역 내 주.공 혼재지역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정동규.윤희연, 2017,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에 위치한 음식점의 생존과 폐업 비교",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3), 57-68.
  17. 정지희, 2008, "문화.예술시설 입지에 기반한 서울시 삼청동길의 가치상형적 상업화", 문화경제연구, 11(1), 123-157.
  18. 진창종, 2013, "홍대앞 주거지의 상업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분석: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관점에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천상현.최은준.김노훈, 2018, 상권분석서비 스 과밀지수 고도화를 위한 모형설계 및 과밀 지수 구축 방안. 서울: 서울신용보증재단
  20. 최막중.박혜민.손새나, 2012,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이 광역적.국지적 상권 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3(3), 93-107.
  21. 최은준, 2019, "상업체 영업기간에 따른 서울시 상업공간 유형화와 상업공간 유형 결정요인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최은준.천상현, 2018, "사업체의 영업기간으로 본 서울시 상업공간의 변화", 한국지역학회 2018년 전기학술대회 (2018년 9월 7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대학교.
  23. 허자연.정연주.정창무, 2015,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도시연구, 16(2), 19-33.
  24. 허자연, 2015,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Abdin, M. D., 2020, "Doing businesses during COVID-19 crisis and afterwards". Doing Businesses During COVID-19 Crisis and Afterwards (April 16, 2020).
  26. Audretsch, D. B., and Fritsch, M., 2002, "Growth regimes over time and space", Regional Studies, 36(2), 113-124. https://doi.org/10.1080/00343400220121909
  27. Brixy, U., and Grotz, R., 2007, "Regional patterns and determinants of birth and survival of new firms in Western Germany",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19(4), 293-312. https://doi.org/10.1080/08985620701275510
  28. Ester, M., Kriegel, H. P., Sander, J.. and Xu, X., 1996, "A density-based algorithm for discovering clusters in large spatial databases with noise" In Kdd, 96(34), 226-231.
  29. Lakshmi, B. M., and Shareena, P., 2020, "Impact of COVID 19 on the Restaurants."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Cycle Research, 12(8), 1327-1334.
  30. Lee, M., Kim, H., and Cheon, S., 2021, A Network Approach to Revealing Dynamic Succession Processes of Urban Land Use and User Experience. Sustainability, 13(21), 11955. https://doi.org/10.3390/su132111955
  31. Silverman, B. W., 2018, "Density estimation for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New York,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