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정보와 통신)
- Volume 34 Issue 6
- /
- Pages.65-72
- /
- 2017
- /
- 1226-4725(pISSN)
공공안전을 관리를 위한 국내외 국가기반시설(CIP)의 복합재난 관리 방안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국가기반시설의 기능 상실은 신속한 재난 대응 및 복구를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의 심각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본고에서는 국가주요시설의 체계적 위험도 관리를 위한 DB 현황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외 국가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절차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기반시설 분야에 적합한 재난관리 방법론을 연구하고 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난 예방, 관리,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에서 관리되는 시스템의 활용범위와 같이 시스템의 대부분이 상황전파 및 재난신고접수와 사후 피해 상황 보고 등의 복구진도관리 위주로 운용되고 있으며 취약성 분석 및 시설체계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복합적인 재난 유형에 적합한 관리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한 국내외 체계 및 사례를 조사하여 국가기반시설 간 상호의존성을 고려한 복합재난 관리 체계를 소개하였다.
Keywords
File
References
- 국민안전처, 재난 연보 2013
- 국립방재연구원, 복합사회적 재난대응 기술 개발을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12
- 국립방재연구원, 복합사회적 재난대응 기술개발을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12
- 김동진, 조성제, 국가 DB기반의 국내외 보안취약점 관리 체계 분석, 2010
- 소방방재청, 국가재난관리 중장기 전략계획 연구, 2006
- 한국행정연구원, 범정부적 국가위기.재난관리시스템 연구, 2012
- 한국행정연구원, 전 지구적 위험에 대응한 위기관리 거버넌스 체계 구축, 2012
- 한국행정연구원, 초대형 중대 재난 시나리오의 발굴 및 사건대응체계의 마련, 2012
- 행정안전부 중앙안전관리위원회,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2010
- 행정안전부, 국가기반체계 보호지침 및 평가지표 개발 연구, 2009
- 행정안전부, 재난유형별 통합관리체계 연구, 2008
- 행정안전부, 지역기반시설 지정관리방안 연구, 2011
- Austrailian Government,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Modelling and Analysis Program(CIPMA), 2007
- Bell Labs, Critical National Infrastructure Reliability Modeling and Analysis, 2006
- CBRA, Problem space report: Critical infrastructure & supply chain protection, 2012
- CRO forum, Power Blackout Risks/ "2007 Long- Term Reliability Assessment," of NERC (North American Electric Reliability Corporation), 2011
- CRO forum, Power Blackout Risks/World bank, 2011
- ESRI, ESRI Homeland Security GIS Summit, 2009
- FEMA, HAZUS-MH(Hazard US Multi Hazard), 2012
- ITU, Creating Trust in Critical Network Infrastructure: Canadian Case Study, 2002
- NZSEE Conference, Modelling Interdependences of Critical Infrastructure, 2010
- U.S. DHS And NIST, Modeling and Simula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for Homeland Security Applications,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