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창의재단
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기연진, 이종학, 김원경(2014). GeoGebra 자료를 활용한 융합교육에서 M-STEAM 수업의 효과에 대한 연구 -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현장과학교육, 8(1), pp.1-19.
- 김성원(2012). 융합인재교육(STEAM) 학습 평가 모형 개발, 2012년도 융합인재교육(STEAM) 학술대회 발표집 (pp. 47-63).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과학기술부.
- 김수환, 한선관(2012).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3). pp. 319-326.
- 김우진(2012).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D-Frame 교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준송(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 김현정(2014). 융합인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상호보완적 디자인교육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노상우.안동순(2012).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 10(3), pp. 75-96.
-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pp. 149-171.
-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서동엽(2014).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STEAM 교육. 수학교육학연구. 24(3), pp. 429-442.
- 이소현, 정현일(2012). 미술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지, 26(3), pp. 83-117.
- 이종학, 류성림, 윤마병, 김학성(2017). 디자인을 활용한 초중등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융합학회논문집, 8(10), pp. 173-184.
- 이희경(2013).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의 수학태도 및 상황적 지식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숙, 민주영, 한혜숙(2013). STEM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pp. 337-362.
- 전미숙, 박문환(2015).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18(2), pp. 91-106.
- 정윤희, 김성준(2013).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초등수학 수업자료 개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pp. 745-770.
- 조향숙(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연구.실천, 2012년도 융합인재교육(STEAM) 학술대회 발표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과학기술부.
- 조현정, 류희수(2014). 수학 기반 STEAM 교육 관점에서 학생들의 교과 융합 역량 분석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육연구, 45(2). pp. 49-75.
-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초등 6학년.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국과학창의재단(2017). 2017 융합인재교육(STEAM) 태도 및 만족도 검사지. 한국과학창의재단
- 최유현, 이은상, 김동하(2013). 중학생을 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로봇, 신소재, 우주탐사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pp. 152-177.
- 최정훈(2011). 미래과학교육의 혁신: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STEAM교육. 위즈덤교육포럼.
- 한혜숙, 이화정(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 12(3), pp. 573-603.
- 홍민아, 황북기, 최정훈(2012). 물의 오염도 측정에 대한 STEAM 교육 교재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21(8), pp. 909-929.
- Yakman, G.(2010). STEAM: A Framework for Teaching Across the Disciplines. http://www.steamedu.com/index.html.
- Friedman, T., L.(2000). The Lexus and the Olive Tree. Anchor Books.
- Soman, K. P., Krishnan, P., & Sowmya, V.(2014).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Spreadsheet and Fractal Geometry: Part 1. IJCA, 55(14), 1-8.
- Victor, P.(1983), Design for Human Scale, VanNostrand Reinhold. 현용순, 이은재 역(1983), 인간을 위한 디자인, 미진사.
- http://www.korean.go.kr/front/search/searchLis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