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연구 (Korean Journal of Logic)
- Volume 19 Issue 2
- /
- Pages.145-184
- /
- 2016
- /
- 1598-7493(pISSN)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직관
Gab Theory and Minimal Intuition on Truth
-
이진희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
Lee, Jinhee
(Dasan University College, Ajou University)
- 투고 : 2016.05.08
- 심사 : 2016.06.13
- 발행 : 2016.06.30
초록
윌리엄슨(Williamson)은 간극이론과 타르스키 T-도식이 양립불가능함을 보였다. 필자는 이글에서 이러한 윌리엄슨의 주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간극이론이 'p⊨T
그리고 T
⊨p'와는 양립가능함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곧 간극이론이 진리에 대한 최소한의 직관을 포착할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논의는 간극이론의 논리적 공간을 'p⊨T
그리고 T
⊨p'와 '이가율의 부정'의 양립가능성을 통해 확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간극이론을 수용할 경우 함께 수용해야할 귀결개념을 제시하고, 아래 두 주장이 간극이론과 진리에 대한 최소 직관의 논리적 귀결임을 보일 것이다. 1) not-T
와 T '는 성립하지만 'not-T ⊨not-p'는 성립하지 않는다.
파일
참고문헌
- 이진희 (2014), "모호한 함축에 대하여", 철학적 분석, 30집, pp. 17-55.
- Barnett, D. (2013), "Vague entailment", Australasian Journal of Philosophy, 91, pp. 325-335. https://doi.org/10.1080/00048402.2012.683013
- Bobzien, S. (2012), "If It's Clear, Then It's Clear That It's Clear, or is It? Higher-Order Vagueness and the S4 Axiom", In B. Morison and K. Ierodiakonou (eds.) Episteme, etc, Oxford University Press, pp. 189-212.
- Dummett, M. A. E. (1978), Truth and Other Enigma, Harvard University Press.
- Fine, K. (1975) "Vagueness, truth and logic", Synthese, 30 (3), pp. 265-300. https://doi.org/10.1007/BF00485047
- Greenough, P. (2010), "Deflationism and Truth-Value Gaps", In N. Pedersen and C. D. Wright (eds.), New Waves in Truth, Palgrave Macmillan, pp. 115-125.
- Graham. P. (2006), In Contrad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Richard, M. (2000), "On an argument of Willamson's", Analysis, 60 (2), pp. 213-217. https://doi.org/10.1093/analys/60.2.213
- Varzi, A. C. (2007), "Supervaluationism and Its Logics", Mind, 116 (463), pp. 633-675. https://doi.org/10.1093/mind/fzm633
- Williamson, T. (1994), Vagueness,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