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Volume 15 Issue 12
- /
- Pages.153-164
- /
- 2015
- /
- 1598-4877(pISSN)
- /
- 2508-6723(eISSN)
DOI QR Code
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of Line Dance Participating Middle-Aged and Old Women and Self-Respect, Quality of Life
라인댄스 참여 중·노년 여성의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관계
- Received : 2015.06.18
- Accepted : 2015.07.29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how leisure satisfaction of line dance participating middle-aged and old women impacts on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benefit of line dancing by middle-aged and old women will be confi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participating in 2 hour class of line dancing had highest leisure satisfaction. Secondly, in analyzing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self-esteem, health factor was the only sub-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to impact self-esteem. Thirdly, in analyzing the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health factor was the only sub-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to have effect on quality of life sub-factors, such as daily life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Fourthly, self-esteem also directly affects quality of life. Since health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directly affected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a causal relationship can be see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leisur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quality.
Keywords
File
References
- 안명식, 중년여성의 라인댄스 참여와 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0.
- H. Choi, "Menopause and Exercis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Vol.13, No.2, pp.77-84, 2007.
- 김영환, 이철원, 전용관, 윤미정, 김지영, 라인댄스, 대한미디어, 2008.
- 노은초, 중년여성들의 라인댄스 참여경험,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0.
- 박현숙, 무용과 댄스 스포츠 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5.
- 임현주, 재즈댄스 참가자의 여가만족도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2009.
- C. E. Ferrans, "Definition and conceptural models of quality of life," J. Liscomb, C. C. Gotaya, and C. Snyder, eds.(2005). In Outcome Assessment in Canc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979.
- 조선일보, 6075 신중년, 2013년 12월 24일.
- J. G. Beard and M. G. Ragheb,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No.1, pp.20-33, 1990.
-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992.
- 김정숙, 중년여성의 라인댄스 참여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3.
-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 M. R. Song and L. R. Song, "Analysis of Quality of Life among Middle Aged and Elderly Women Participating in Health Dance Exercis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ol.6, No.3, pp.163-168, 2014. https://doi.org/10.14257/ijbsbt.2014.6.3.19
- 권한경, 중년여성이 인지한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1.
- 임번장, 김홍설,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480-4491, 1996.
- 임번장, 정영린,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3호, pp.56-69, 1995.
- 최덕환,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지각된 여가기능, 여가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3권, 제4호, pp.171-181, 2009.
- 오정학, 김철원, 하명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2호, pp.23-40, 2012.
- 박진경, "여가만족이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경기관광연구, 제16호, pp.45-60, 2011.
- 이광수, 김관진, "주5일 수업제 운영에 따른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과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73-90, 2010.
- 지명원, 조태영,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6권, 제6호, pp.145-165, 2012.
- 한미정, 이지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75-284, 2013. https://doi.org/10.4069/kjwhn.2013.19.4.275
- 방승희, 농촌 노인의 여가활동 정도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8.
- 김성태, "주5일 수업제의 여가시간 변화가 학업 스트레스, 여가만족,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15권, 제1호, pp.55-72, 2010.
- 임점주, 노인여가형태와 자기통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0.
- 지명원, 조태영,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36권, 제6호, pp.145-165, 2012.
- M. H. Williams, Life time fitness and Wellness, New York: W. C. Brown Publishers, 1998.
- 고영준, 서진교, "노인 생활체육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만족도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8권, pp.641-651, 2009.
- 한정란, 김수현, "농촌 남녀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6권, pp.91-118, 2004.
- R. E. Lucas, E. Diener, and E. Suh, "Discriminan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pp.616-628,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1.3.616
- 남기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제30권, pp.303-32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