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Volume 13 Issue 6
- /
- Pages.86-94
- /
- 2013
- /
- 1598-4877(pISSN)
- /
- 2508-6723(eISSN)
DOI QR Code
and Historical Allegory
<친절한 금자씨>와 역사적 알레고리
- 한상언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
- Received : 2013.03.13
- Accepted : 2013.04.29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2000s Korean cinema was influenced by capital, so it chose the way of Allegory instead of talking directly about sensitive issues. A representative movie director is Park Chan Wook who directed The Vengeance Trilogy.
Keywords
File
References
- 정현경, "박찬욱 영화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제38집, pp.275-276, 2012.
- 정성일, 필사의 탐독, 바다출판사, pp.270-271, 2010.
- 신아영, "복수의 플롯을 통해 본 박찬욱 영화의 영화미학 연구", 드라마연구, 제34호, p.309, 2011.
- 박찬욱, 박찬욱의 몽타주, 마음산책, pp.98-99, 2005.
- 김창환,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알레고리적 미의식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p.17, 2012.
- 김창환,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알레고리적 미의식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p.21, 2012.
- 임석원, 발터 벤야민의 알레고리 개념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p.13, 2003.
- 김소연, "복수는 나쁜 것?", 영상예술연구, Vol.8, pp.212-214, 2006.
- 임영방, 바로크, 한길아트, p.22, 2011.
- 발터 벤야민(최성만, 김유동 옮김), 독일 비애극의 원천, p.236, 2009.
- 임영방, 바로크, 한길아트, p.882, 2011.
- 최문규, 파편과 형세, 서강대출판부, p.176, 2012.
- 발터 벤야민(최성만, 김유동 옮김), 독일 비애극의 원천, p.328, 2009.
- 박찬욱, 박찬욱의 몽타주, 마음산책, pp.97, 2005.
-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엮음, 복수는 나의 것, 새물결, p.207, 2006.
-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엮음, 복수는 나의 것, 새물결, p.212-21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