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물리와물리탐사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Volume 13 Issue 3
- /
- Pages.268-276
- /
- 2010
- /
- 1229-1064(pISSN)
- /
- 2384-051X(eISSN)
지진관측 : 미래 발전 전략
Earthquake Monitoring : Future Strategy
-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박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김근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신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신인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임인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정병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신동훈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Chi, Heon-Cheo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Park, Jung-Ho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Kim, Geun-Young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hin, Jin-Soo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hin, In-Cheul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Lim, In-Seub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Jeong, Byung-Su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heen, Dong-Ho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8.08
- 심사 : 2010.08.20
- 발행 : 2010.08.31
초록
지진재해대책법이 2009년 3월에 발효됨에 따라 가속도 지진관측을 수행하여야 할 기관이 대폭 확대되었다. 소방방재청의 추정에 의하면 최소 400개소의 자유장 가속도 관측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지진계측기의 성능 향상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지진관측소 설치가 보편화되면서 지진관측의 주 기능이 신속 피해 예측과 경보 발령 등 지진방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환되고 있다. 신속 지진피해 예측의 기반기술인 실시간 지진동 영상화기법을 소개하였다. 이 기술은 신속한 지진피해 평가를 위한 실시간 자료 취합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지진피해는 주로 S 파와 연속되는 표면파에 의해 발생한다. 최초로 도달하는 P 파로부터 최대 지반운동 크기와 지진 피해를 예측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지진조기경보체계이다. 지진조기경보의 기술개발 현황과 함께 2007년 오대산지진에 적용한 예를 소개하였다. 조기경보 기술은 기상청의 지진통보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지역별로 분산된 주요 국가 시설물의 지진방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분산형 조기경보 시스템의 구성과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파일
과제정보
연구 과제번호 : 실시간 지진관측 및 대도시 지진위험도 예측 기술 개발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참고문헌
- 임인섭, 정병선, 2007, QSCD2.0 (Quick Seismic Characteristic Data from 20sps data),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지헌철, 신인철, 정현기, 황세호, 박동창, 위광호, 신진수, 박정호, 조창수, 황의홍, 김근영, 김수경, 2000, 지진연구망 구축 및 운영, 자연재해방재기술개발사업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 지헌철, 전정수, 신진수, 이희일, 박정호, 2002a, 지진가속도 값의 칼라코드 표준화,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P61-71.
- 지헌철, 전정수, 이희일, 박정호, 임인섭, 2002b, 지진신속피해평가시스템 구축−실시간 지진동의 2차원적 영상화, 한국지진공 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P51-60.
- 지헌철, 신진수, 박정호, 임인섭, 선창국, 2008, 국내 최적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방안, 기상지진연구기획사업보고서, 기상청, 33-47.
- Allen, R. M., P. Gasparini, O. Kamigaichi, and M Bose, 2009, The status of Earthquake Early warning around the World: An Introductory Overview,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0, 682-693. https://doi.org/10.1785/gssrl.80.5.682
- Cua, G., and T. Heation, 2007, The Virtual Seismologist (VS) method: A Bayesian approach to earthquake early warning, I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s, ed. P. Gasparini, G. Manfredi, and J. Zschau, 97-132. Berlin and Heidelberg: Springer.
- Espinosa-Aranda, J. M., A. Jimenez, G. Ibarrola, F. Alcantar, A. Aguilar, M. Inostroza, and S. Maldonado, 1995, Mexico City Seismic Alert System.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66, 42-52.
- Hoshiba, M., Kamigaichi, O., and Saito, M., 2008, Earthquake early warning starts nationwide in Japan, EO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89(8), 73-74. https://doi.org/10.1029/2008EO080001
- Nakamura, Y., 1988, On the Urgent Earthquake Detection and Alarm System(UrEDAS), Proc. of the 9th World Conf. on Earthquake engineering, Int. Assoc. for Earthquake Eng., Tokyo, 2-9 Aug.
- Olson, E. L., and Allen, R. M., 2005, The deterministic nature of earthquake rupture, Nature, 438, 212-215. https://doi.org/10.1038/nature04214
- Tsang, L. L. H., Allen, R. M., and Wurman, G., 2007, Magnitude scaling relations from P-waves in southern Californ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19304, doi:10.1029/ 2007GL031077. https://doi.org/10.1029/2007GL031077
- Wald, D. J., V. Quitoriano, T. H. Heaton, H. Kanamori, C. W. Scrivner, and C. B. Worden, 1999, TriNet "ShakeMaps": Rapid Generation of Peak Ground Motion and Intensity Maps for Earthquakes in Southern California, Earthquake Spectra, 15(3), 537-556. https://doi.org/10.1193/1.1586057
- Wurman, G., Allen, R. M., and Lombard, P., 2007, Toward earthquake early warning in northern Californ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B08311, doi:10.1029/2006JB004830. https://doi.org/10.1029/2006JB004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