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한국환경과학회지)
- Volume 12 Issue 7
- /
- Pages.735-744
- /
- 2003
- /
- 1225-4517(pISSN)
- /
- 2287-3503(eISSN)
DOI QR Cod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in Surface Sediments and Its Origin in Deukryang Bay, Korea
득량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기원
- 윤양호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Published : 2003.07.01
Abstract
The field observations on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organic matter and its origin in the surface sediment were carried out at 35 stations in Deukr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from May 1995 to February 1996. The analytical parameters were mud temperature, ignition loss(IL), chemical oxygen demand(COD), pheopigment, sulfide and water content. The origin and seasonal dynamics of organic matter in Deukryang Bay were analyzed by COD/IL, COD/sulfide ratio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s a results of the mud temperature fluctuated between 2.1
File
References
- 畑幸彦, 1990, 堆積物, In : 渡邊競 (編), 海面養殖と養魚場環境, 水産學シリ-ズ 82, 恒星社厚生閣, 51-68pp.
- 淸水誠, 1972, 海洋の汚染-生態學と地球化學の視點から, 築地書館, 151pp.
- 조창환, 양한섭, 박경량, 염말구, 1982, 진해만 패류양식장의 저질에 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5, 35-41.
- Cho, C.H., K.Y. Park, H.S. Yang and J.S. Hong, 1982, Eutrophication of shellfish farms in Deukryang and Gamagyang Bays, Bull. Korean Fish. Soc., 15(3), 233-240.
- Yang, D.B. and J.S. Hong, 1988,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Bull. Korean Fish. Soc., 21(4), 195-205.
- Choi, H.G., W.C. Lee, P.J. Kim and P.Y. Lee, 1998, Water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hellfish farms of the western part of Jinhae Bay, J. Fish. Sci. Tech., 1(2), 159-167.
- 윤양호, 박정미, 1992, 저수온기 광양만의 유기오탁 현상에 대하여, 여수수산대학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1, 55-67.
-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6), 557-566.
- 조현서, 유영석, 이규형, 1994, 가막만 수질 및 저질 환경의 계절별 변동특성,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3, 21-33.
- 윤양호, 1998,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 표층퇴적물 중의 유기물 분포에 대하여, 여수대학교 논문집, 13(2), 1135-1151.
- 윤양호, 2000, 거금수도 표층퇴적물 중의 유기물 분포 및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9(2), 137-144.
- 이진환, 허형택, 1982, 득량만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적조발생에 관한 연구, Bulletin of KORDI, 5, 21-26.
- 김상우, 조규대, 노홍길, 이재철, 김상현, 신상일, 1995, 1992-93년 하계 득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1), 7-14.
- 이재철, 노홍길, 조규대, 신상일, 김상우, 김상현, 1995, 1992년 하계 득량만 서부해역의 조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8(1), 1-6.
- Lee, B.G. and K.D. Cho, 1995, Temporal variations of stratification-destratification in the Deukryang Bay, Korea, Korean Environ. Sci. Soc., 4, 139-149.
- 양한섭, 김성수, 김규범, 1995, 득량만 표층수중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1. 영양염류의 계절변화와 기초생산 제한인자, 한국수산학회지, 28(4), 475-488.
- 김도희, 박청길, 1998, 득량만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용출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7(4), 425- 431.
- 마채우, 홍성윤, 임현식, 1995, 득량만 저서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 503-516.
- 한동훈, 홍성윤, 마채우, 1995,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8(5), 517-532.
- 윤양호, 1999,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환경생물, 17, 481-492.
- 윤양호, 김동근, 2003, 득량만 남서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환경생물, 21, 8-17.
- 김철원, 허성범, 1998, 득량만에서 조개류 자원의 분포, 한국양식학회지, 11, 249-260.
-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編, 1980, 新編 水質汚濁調査指針, 恒星社厚生閣, 552pp.
- 윤양호, 2000, 가막만 북부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동특성 2. 수질환경과 엽록소 a량의 변동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9(5), 429-436.
- Lee, B.G., 1994, A study of physical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ukryang Bay using numerical and analytical model in summer. Ph.D thesis, Nat'l Fish. Univ. of Pusan, 145pp.
- 황인호, 2001, 고흥연안 어장의 오염과 자율적 환경관리. In : 연안보전네트워크 편, 맑고 푸른 연안지역, 우리 손으로 연안한국 2000 2001년 운동리포트(2001활동보고서), 서울, 283-292pp.
-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編, 1972, 水産環境水質基準(水質資料), 87pp.
- 박영철, 양한섭, 이필용, 김평중, 1995, 겨울철 부산항 주변해역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8(5), 577-588.
- Bonn, E.W. and B.J. Follis, 1967,. Effects of hydrogen on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Trans. Amer. Fish. Soc., 96, 31-36. https://doi.org/10.1577/1548-8659(1967)96[31:EOHSOC]2.0.CO;2
- 畑 幸彦, 1969, 底土中の硫化物, 沿岸海洋硏究ノート, 7, 14-18.
- 윤양호, 2000, 저수온기 목포연안해역의 해양환경학적 특성 3. 표층퇴적물 중의 유기물 분포와 기원, 여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 83-94.
- 有馬哲,石村貞夫, 1987, 多變量解析のはなし, 東京圖書, 320pp.
Cited by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vol.43, pp.2, 2010, https://doi.org/10.5657/kfas.2010.43.2.146
- Temporal Variations in the Sedimentation Rate and Benthic Environment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round Byeonsan Peninsula, Korea vol.43, pp.6, 2010, https://doi.org/10.5657/kfas.2010.43.6.723
- Assessment of the Pollution Level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vol.44, pp.6, 2011, https://doi.org/10.5657/KFAS.2011.0759
- Concentration of metallic elements in surface sediments at a waste disposal site in the Yellow Sea vol.22, pp.7, 2013, https://doi.org/10.5322/JESI.2013.22.7.787